print

전력수요 두 달 연속 감소…전기요금 인상 영향?

1·2월 평균 최대전력 하락

서울 시내 주택가의 전기계량기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전력 수요가 올해 들어 두 달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요금 인상과 경기 둔화가 겹쳐 전기 소비가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5일 전력거래소 전력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월 최대전력은 7만6183MW(메가와트)로 작년 같은 달(7만7278MW) 대비 1.4% 감소했다. 1월 최대전력은 작년(7만9797MW)보다 0.4% 감소한 7만9797MW였다.

최대전력은 하루 중 전력사용량이 가장 많은 순간의 전력 수요다. 월평균 최대전력은 한 달 동안 일별 최대전력 합계의 평균값을 말한다. 즉 월평균 최대전력이 감소했다는 것은 해당 월의 전력수요가 줄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월평균 최대전력은 지난해 10∼11월 두 달 연속 전년 대비 감소했다가 12월 한파 영향으로 동월 기준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이후 올해 들어 1∼2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통상 전력수요가 늘어나는 동절기임에도 불구, 이례적으로 전력수요가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전력 판매 사업자인 한국전력이 발전사업자로부터 구매하는 전력량을 의미하는 전력거래량도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전력거래량은 작년 10∼11월 연속 감소했다가 12월(5만1937GWh)에 소폭(3.4%) 반등한 뒤 올해 1월(5만387GWh) 다시 1.9% 줄었다.

업계에서는 전기요금 인상과 기온 변화를 전력수요 감소의 가장 큰 요인으로 보고 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전기요금을 세 차례 인상한 데 이어 올해 1분기에도 kWh(킬로와트시)당 13.1원을 추가로 인상한 바 있다. 이는 2차 오일쇼크였던 1981년 이후 최대 인상폭으로, 4인 가구 기준으로는 월 전기요금 부담액이 4022원 가량 오른 셈이다.

이같은 요금 인상으로 가계·기업이 에너지 효율 개선과 비용 절감에 나서면서 전력수요도 감소했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수출 감소로 인한 경기 침체가 본격화됐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박정희 모가지 따러' 김신조, 역사 뒤안길로…향년 83세

2허윤홍 GS건설 대표 “AI는 피할 수 없는 물결, 생존의 문제와 직결”

3337조원 썼지만 부족하다…한국 복지지출, OECD 평균의 69%

4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5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6“4월이 분수령”…3월 가계대출 4000억원 증가에 그쳐

7뷰노, 김택수 최고전략책임자 영입…삼성종기원 출신

8SK에코플랜트, 반도체 기술 가진 스타트업 찾는다

9EV·픽업·자율주행…기아, 다각화 전략으로 미래차 선도

실시간 뉴스

1'박정희 모가지 따러' 김신조, 역사 뒤안길로…향년 83세

2허윤홍 GS건설 대표 “AI는 피할 수 없는 물결, 생존의 문제와 직결”

3337조원 썼지만 부족하다…한국 복지지출, OECD 평균의 69%

4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5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