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두나무, ‘회복의 숲’ 캠페인 성료…산불 피해지에 3만 그루 심는다

경북 울진 산불 피해지역에 3만 그루 이상 식수 예정
산불 피해자 트라우마 회복 위해 치료 기금도 조성

세컨블록 내 세컨포레스트에 가상나무를 식재한 이들이 함께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제공 두나무]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두나무가 산림청, 한국산림복지진흥원과 손잡고 진행한 ‘세컨포레스트와 함께 하는 회복의 숲’ 캠페인이 약 2만명의 참여로 성황리에 종료됐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캠페인에 따라 오는 4월 대형 산불로 큰 피해를 입었던 경북 울진 지역에는 3만 그루 이상의 나무가 심어질 예정이다.

‘세컨포레스트와 함께하는 회복의 숲’은 대형 산불 피해지를 복구하기 위해 기획된 시민 참여형 환경보호 캠페인이다. 지난 20일부터 24일까지 닷새간 두나무의 메타버스 플랫폼 세컨블록(2ndblock)에서 진행됐다.

세컨블록 내 마련된 가상의 숲 세컨포레스트에 참여자들이 나무 1그루를 심으면 경북 울진에 실제 나무 2그루가 식재되는 방식이다. 캠페인 첫날에만 4488그루의 나무가 세컨포레스트에 심어졌으며, 5일간 캠페인에 참여한 인원은 총 1만9790명에 달했다.

점심시간마다 진행된 이벤트도 높은 관심을 증명했다. 이벤트 시작 1시간 전부터 참여 가능 인원인 300명이 몰려 빠르게 마감됐으며, 산림 복원 관련 OX 퀴즈를 통해 산림 회복과 산불 예방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

캠페인에 따라 경북 울진 산불 피해지역에는 3만 그루 이상의 나무가 심겨 ‘회복의 숲’이 조성되며, 참여자들에게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배롱나무가 실제 복원 수종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나무 심기 미션 참여자에게 제공된 총 1만장의 그루콘은 가정의 반려 나무 심기로도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산불 진화 인력 및 산불 피해지역 주민의 트라우마 회복을 위한 6000만원 규모의 치료 기금도 조성돼 재난 피해자들을 위한 심리 회복도 지원한다.

이석우 두나무 대표는 “두나무의 기술과 참여자들의 높은 환경보호 의식이 한데 모여 또 하나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해냈다”며 “앞으로도 두나무가 가진 기술과 노하우를 활용해 사회와 환경 문제 해결에 보탬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두나무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키워드 중 하나로 ‘나무’를 선정하고, 지난해부터 ‘세컨포레스트’ 캠페인을 꾸준히 전개해 산림 복원에 앞장서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책 사이에 숨긴 화려한 우표…알고 보니 ‘신종 마약’

2경북도, K-국방용 반도체 국산화 위해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

3영천시, 베트남 대형 유통업체 K-MARKET과 "농특산물 수출 확대" 협약 맺어

4대구시, 경기 화성 배터리공장 화재피해 복구 지원에 1억원 지원

5소방당국, 아리셀에 ‘화재 경고’…‘예방컨설팅’까지 했다

6최태원 동거인 첫 언론 인터뷰 “언젠가 궁금한 모든 이야기 나눌 수 있을 것”

7갤럭시, 접고 끼고 AI 장착…‘언팩 초대장’ 보낸 삼성전자, 링·폴드·플립 공개

8이복현 “상속세·금투세 등 의견 피력…하반기 ‘골든타임’”

9토스뱅크·광주은행, 올해 3분기 ‘공동대출’ 출시

실시간 뉴스

1책 사이에 숨긴 화려한 우표…알고 보니 ‘신종 마약’

2경북도, K-국방용 반도체 국산화 위해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

3영천시, 베트남 대형 유통업체 K-MARKET과 "농특산물 수출 확대" 협약 맺어

4대구시, 경기 화성 배터리공장 화재피해 복구 지원에 1억원 지원

5소방당국, 아리셀에 ‘화재 경고’…‘예방컨설팅’까지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