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국제선 운항횟수, 올 9월까지 90% 회복된다

국제선 정기편 4075회로 증가, 인천-프라하 노선 등 다시 열려
내수활성화 대책 일환…취항혜택 도입해 방문객 증가시킬 것

대한항공 여객기 모습. [사진 대한항공]

[이코노미스트 민보름 기자] 정부가 내수 활성화 목적으로 국제선 운항횟수를 코로나19 감염증(COVID-19) 확산 이전의 90% 수준까지 늘릴 계획을 세우고 있다. 국제선 운항을 늘려 방문 여행객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내수를 활성화하려는 목적에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29일 열린 ‘비상경제민생회의’ 후속조치로 9월까지 국제선 정기편 운항횟수를 204개 노선에서 주 4075회로 늘리겠다고 2일 밝혔다. 이는 2019년의 88.2%에 달한다. 

이중 코로나 사태 전 국제선의 절반을 차지했던 일본과 중국 노선 운항횟수가 집중적으로 증가한다. 9월 운항횟수 목표치는 일본 노선이 2019년 대비 92%이며 중국 노선이 87%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 

동남아 노선은 91%(베트남 97%·필리핀 94%·태국 84%), 미주 노선은 92%(미국 92%·캐나다 103%), 유럽 노선은 97%(독일 119%·프랑스 95%·영국 67%) 수준까지 회복될 전망이다.

노선별로 보면 인천공항~나리타 운항횟수는 현재 주 144회에서 168로 늘며 오사카와 상하이 노선도 각각 주 143회에서 168회, 주 2회에서 88회로 증가한다. 그간 멈췄던 인천~프라하·취리히·마드리드, 김해~가오슝 노선 운항은 재개된다. 

국토부는 인천공항 환승과 지방공항 취항 여객 유치를 위한 혜택을 제공하는 등 국제선 조기회복을 통해 지역 경제를 살리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려 한다. 국토부는 단기 체류 환승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환승 여객의 환승 시간과 여행 형태 등을 반영한 투어 프로그램 및 각종 프로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한국공항공사는 김해·대구·무안·양양·청주 등 5개 지역 국제공항 취항 부정기편 중 외국인 탑승 비율이 50% 이상인 여객을 대상으로 항공사당 최대 16편까지 착륙료를 면제한다. 

김영국 국토부 항공정책관은 “지상조업 부족 문제 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민관합동 항공회복지원단을 구성해 원활한 운항 회복을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尹, 관저서 나경원 만났다…“어려운 시기에 고맙다”

29급 공무원 필기 응시율 또 떨어졌다…3년 새 ‘최저’

3 野 “韓대행, 대선일 신속히 공표해야”

4“은퇴 이후에도 취업 프리패스”…5060 몰리는 이 자격증은

5국민연금만 ‘月 543만원’ 받는다…‘역대급’ 수령한 부부 비결 봤더니

6“한국은 25%, 기본 10%”…트럼프발 전세계 ‘관세 폭탄’ 터졌다

7파면 이틀째 尹, 관저 퇴거는 언제...아크로비스타 복귀에 ‘관심’

8 "다시 윤석열" 전 국방부장관 김용현, 윤 전 대통령 파면에 옥중서신

9“싸구려 취급” 분노에도...전국민 2명 중 1명, ‘지프리 프사’ 이용했다

실시간 뉴스

1 尹, 관저서 나경원 만났다…“어려운 시기에 고맙다”

29급 공무원 필기 응시율 또 떨어졌다…3년 새 ‘최저’

3 野 “韓대행, 대선일 신속히 공표해야”

4“은퇴 이후에도 취업 프리패스”…5060 몰리는 이 자격증은

5국민연금만 ‘月 543만원’ 받는다…‘역대급’ 수령한 부부 비결 봤더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