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시민 81%, 지난해보다 전기·가스요금 부담 늘었다”

시민단체 2349명 설문조사…추가 인상 반대 87%
민·당·정 간담회서 전기·가스요금 인상 문제 재논의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가스·난방비 등의 비용 부담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마켓in 이승훈 기자] ‘난방비 폭탄’ 여파로 유독 추운 겨울을 보낸 시민들의 올해 전기·가스 요금 부담이 더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시민사회단체 너머서울은 6일 서울 마포구 강북노동자복지관에서 연 ‘공공요금 폭등 증언대회’에서 지난달 13∼30일 시민 2349명을 대상으로 한 ‘공공요금 인상에 대한 개인 인식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의 80.9%는 지난해 1월 대비 올해 1월 전기·가스 요금 지출이 늘어났다고 답했다. 두 요금의 증가액이 3만∼10만원이라는 답이 56.8%로 가장 많았다. 10만원 이상이 20.1%, 20만원 이상이 3.8%로 집계됐다.

전기 요금 인상 원인으로는 52.0%(복수응답)가 ‘재정 투여 등 정부 책임이 부재했다’고 답했다. 이어 ▲산업용보다 주택용이 더 비싼 전기요금 체계(49.4%)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한 수입 연료비 단가 상승(46.7%) ▲한전 적자 누적(26.3%) ▲재생·녹색 에너지 등 대안 부재(22.5%) ▲탈원전 정책(14.1%) 등을 꼽았다.

가스 요금 인상 역시 정부의 탓이라는 답이 59.2%로 가장 많았다. 또 응답자의 87.0%는 전기·가스 요금 추가 인상에 반대했다. 특히 월 소득이 200만원 이하인 경우 이 비율이 92.4%에 달하는 등 소득이 낮을수록 요금 인상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너머서울은 “정부는 가정용 전기·가스요금의 추가 인상 계획을 철회하고 에너지 공공성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이날 산업통상자원부와 여당, 민간 전문가 등 관계자들은 전기·가스요금 민·당·정 간담회를 열어, 전기·가스요금 인상 문제를 다시 논의했다. 

의견 수렴 과정에서 “에너지 원가가 폭등하는데다 기업 적자를 이대로 두면 미래 세대에 죄 짓는 일”이라며 요금 정상화가 필수적이라는 입장과 “한전과 가스공사의 부채를 왜 국민에게 전가하느냐”며 요금 인상에 반대하는 입장이 첨예하게 갈렸다. 

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전기·가스 요금 민당정 간담회’에서 “전기·가스 요금 인상은 제로섬의 문제가 아니다”며 “미래 에너지 공급 기관의 안정화, 국민 물가 안정, 국민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사안은 상충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현재와 미래 모두 윈-윈 할 수 있는 대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박정희 모가지 따러' 김신조, 역사 뒤안길로…향년 83세

2허윤홍 GS건설 대표 “AI는 피할 수 없는 물결, 생존의 문제와 직결”

3337조원 썼지만 부족하다…한국 복지지출, OECD 평균의 69%

4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5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6“4월이 분수령”…3월 가계대출 4000억원 증가에 그쳐

7뷰노, 김택수 최고전략책임자 영입…삼성종기원 출신

8SK에코플랜트, 반도체 기술 가진 스타트업 찾는다

9EV·픽업·자율주행…기아, 다각화 전략으로 미래차 선도

실시간 뉴스

1'박정희 모가지 따러' 김신조, 역사 뒤안길로…향년 83세

2허윤홍 GS건설 대표 “AI는 피할 수 없는 물결, 생존의 문제와 직결”

3337조원 썼지만 부족하다…한국 복지지출, OECD 평균의 69%

4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5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