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이창용 “금리인하? 언급할 시기 아냐”…시장은 여전히 “가능성 있다”(종합)

기준금리 3.50%로 동결, "향후 상황 보겠다"
시장은 '연내 인하' 거론…'과도한 기대' 말라는 이 총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4월11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 한국은행]
[이코노미스트 김정훈 기자] 한국은행이 지난 2월에 이어 기준금리를 3.50%로 또 동결했다. 경기가 둔화세를 보이고 있지만 최근 불거진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 등 금융시장 불안감이 여전하다는 점을 감안한 조치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최근 소비자물가가 안정세를 보이면서 2021년 8월부터 이어진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사실상 마무리된 것이 아니냐’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그러면서도 향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조정 가능성이 변수가 될 수 있다는 분위기다. 다만 이창용 한은 총재는 연내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 “과도한 기대”라며 물가 안정세가 확실해질 때까지 금리 인하에 나서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한은 “물가 안정세, 하지만 더 지켜봐야”

11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3.50%로 동결했다. 지난 2월에 이어 2연속 동결이다. 금통위원 전원 만장 일치 결정이었다. 지난 2월 금통위에서는 조윤제 위원이 인상 소수 의견을 제시했지만 이번엔 모두가 동결을 외친 셈이다.  

한은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결정문(통방문)에서 “물가상승률의 둔화 흐름이 이어지겠지만 금융부문의 리스크가 증대되는 등 정책 여건의 불확실성도 높다”며 “금융안정 상황 및 여타 불확실성 요인들의 전개 상황을 점검하면서 추가 인상 필요성을 판단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봤다”고 금리 동결 배경을 설명했다. 글로벌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여전해 향후 추이를 보면서 인상 여부를 확인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면서도 향후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뒀다. 이번 금통위에서 최종금리 수준을 3.75%로 제시한 위원은 총 5명이다. 이들은 ▲산유국 추가 감산에 따른 유가 영향과 ▲공공요금 인상이 하반기 물가 경로에 주는 불확실성이 크고 ▲SVB 사태 이후 주요국, 특히 연준이 통화정책을 어떻게 할지 지켜볼 필요가 있기 때문이라는 입장이다.  
[제공 한국은행, 미 연방준비제도]

특히 한은은 국내 물가가 조금씩 안정되고 있지만 여전히 부족하다는 평가다. 소비자물가는 3월 중 상승률이 전월 4.8%에서 4.2%로 낮아지는 등 둔화 흐름을 이어갔다. 하지만 한은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로 하락해야 물가안정화에 돌입했다고 보고 있다. 물가안정화와 관련해 아직 ‘갈 길이 남았다’고 판단했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한은의 ‘추가 인상 가능성’ 언급과 달리 시장에서는 연내 ‘더이상 인상은 없을 것’이란 반응이 나온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위원은 “산유국의 감산에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배럴당 80달러에서 추가 상승이 제한되고 있고 정부는 물가 우려로 공공요금 인상을 연기하고 있다”며 “미국의 은행들이 대출에 보다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면서 통화정책의 긴축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밝히며 한은의 추가 인상 가능성을 낮게 봤다.  

연내 인하 기대감↑…선 긋는 이창용

이번 기준금리 동결에 연내 금리 인하 기대감도 커지는 상황이다.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이 총재는 “상반기에는 물가 안정에 대한 확신이 어느 정도 있는데 하반기에는 불확실성이 많아 확신할 수 없다”며 “이걸(물가안정) 확인하기 전까지 금리 인하를 언급하는 것 자체가 부적절하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물가가 2%대 수준에서 수렴되는지를 보고 (기준금리 인하를) 결정할 것”이라며 “지금까지는 시장에서 과도하게 반응하고 있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금통위원 5명이 3.75%를 최종금리로 제시했고 여전히 물가가 잡히지 않았기 때문에 기준금리 인하를 논할 때가 아니라고 선을 그은 셈이다.

그럼에도 시장에서는 연내 ‘기준금리 인하’가 가능하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위원은 “인플레이션 둔화 흐름이 이어지고, 경기하방 리스크가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한은이 연내 금리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다”며 “이 총재는 현 시점에서 금리인하를 언급하는 것이 부적절하다고 했지만, 물가가 한은의 전망 경로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 경기하방 리스크는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연내 금리인하 가능성을 배제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반기 기준금리 인하 전망을 유지한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도 “금통위원 5명이 최종금리 수준을 3.75%로 제시한 것은 한은이 물가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두고 통화정책기조를 유지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도 “물가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으나, 금융 리스크가 수시로 부각될 수 있으며 경기 하강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은 점차 ‘물가’보다 ‘금융안정’으로 시선이 바뀔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해석했다.  

한편 이번 기준금리 동결로 한미간 금리차는 1.50%포인트가 유지됐다. 다만 연준이 5월 추가 인상에 나서면 금리 차는 1.75%포인트로 벌어진다. 이러면 원달러 환율 상승과 외국인 자금 유출 압박이 커져 한은이 추가 인상을 고민할 수도 있다. 한은의 기조와 함께 연준의 금리 인상 추이도 향후 지켜봐야 할 변수인 셈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AI 핀테크 혜움, 105억 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성공

2GS네오텍 “AI 도입 이제 실전”…기업 AI 도입 실무 전략 제시

3트럼프 관세 일시 정지? 정면 반박…"중국엔 추가 관세를"

4트럼프 "상호관세 발효 유예 고려하지 않는다"

5유사나, ‘피지 에너지 드링크 시트러스 베리맛’ 출시, 일상에 건강한 에너지와 활력 지원

6뉴욕증시, 美 관세정책 불확실성에 '롤러코스터 장세'…나스닥만 반등

7뉴욕유가, 美-中 관세전쟁에 급락세 지속…WTI 2%↓

8 삼성전자 1분기 영업이익 6조6천억원…작년 동기 대비 0.2%↓

96개월간 휴일 'NO' 편의점 점장, 끝내…본사 답변은

실시간 뉴스

1AI 핀테크 혜움, 105억 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성공

2GS네오텍 “AI 도입 이제 실전”…기업 AI 도입 실무 전략 제시

3트럼프 관세 일시 정지? 정면 반박…"중국엔 추가 관세를"

4트럼프 "상호관세 발효 유예 고려하지 않는다"

5유사나, ‘피지 에너지 드링크 시트러스 베리맛’ 출시, 일상에 건강한 에너지와 활력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