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
트럼프 관세 일시 정지? 정면 반박…"중국엔 추가 관세를"
- 50% 추가 부과 시사…"中, 흑자 軍에 사용"

[이코노미스트 박재우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를 일시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방미 중인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만난 자리에서 '협상을 위해 관세 부과를 일시 중단하는 방안에 대해 열려있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이같이 밝혔다. 이는 일부 미 언론이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를 90일간 일시 중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한 것에 대해 정면으로 반박한 것이다.
그는 "우리를 이용했던 많은 국가는 이제 '제발 협상해달라'(please, negotiate)라고 한다. 그들은 심하게 타격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많은 나라가 우리와 협상하기 위해 오고 있다"면서 "그것은 공정한 계약이 될 것이며 많은 경우에 그들은 상당한 관세를 낼 것이다. 우리는 여러 국가와 엄청난 진전을 이루고 있다. 우리는 다시 경제적으로 강한 국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시진핑 주석과의 관계를 언급하며 "나는 중국을 존경하지만, 그들은 이렇게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은 (미국과의 무역에서) 막대한 흑자를 보고 그것을 군에 사용한다. 우리는 그것을 원치 않는다"고 강조했다. 또 "중국은 폐쇄된(closed) 국가이며 그들이 하는 일은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라며 "만약 차나 다른 무엇을 팔려고 해도 가격이 통제 불능이기 때문에 아무도 사지 않을 것이다. 그것은 다른 국가도 마찬가지"라고 주장했다.
한편, 네타냐후 총리는 미국의 대(對)이스라엘 무역 적자와 관련해 "빨리 없애겠다"면서 "그것은 옳은 일"이라고 밝혔다. 이어 "나는 불필요하게 있는 다양한 무역 장벽도 제거할 것”이라며 “이스라엘이 동일한 일을 해야 하는 국가의 모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라엘에 대한 관세 인하 여부를 묻는 질문에 "어쩌면 아니다"라며 "잊지 마라. 우리는 이스라엘을 엄청나게 돕고 있다. 우리는 매년 수십억 달러씩 이스라엘에 지원한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모든 나라에 기본관세율인 10% 이상의 관세를 부과하는 상호관세 조치를 발표했다. 기본 관세 10%는 지난 5일부터 시행되고 있으며 한국(25%)을 비롯해 미국이 이른바 '최악 침해국'으로 분류한 국가에 대한 국가별 상호관세 조치는 오는 9일부터 시행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고영, 美신경외과학회서 뇌 수술용 의료로봇 ‘지니언트 크래니얼’ 첫 공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서유리 "혹시 누가 해코지할까 봐…" 무슨 사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트럼프 또 물러섰다…車관세 완화 어떻게 달라지나[Q&A]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SK실트론, PEF들 눈치싸움…국적·업황 리스크에 '셈법 복잡'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코스닥 상승 이끈 비만 테마주의 힘…천당·지옥 오간 오름[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