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판매량 갈수록 하락세…폴더블폰 인기는↑
지난해 하반기 출하량 713만대...전년비 14.5%↓
프리미엄-중저가폰 양극화 추세
[이코노미스트 김정훈 기자] 지난해 하반기 고금리·고물가에 따른 소비 심리 위축으로 국내 스마트폰 시장이 다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가 스마트폰을 찾는 수요는 많았지만 상대적으로 중저가 제품 소비량이 하락하며 양극화 현상을 보였다.
IT시장분석 및 컨설팅 업체 인터내셔날데이터코퍼레이션코리아(한국IDC)는 20일 지난해 하반기 국내 스마트폰 시장 출하량이 약 713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14.5% 감소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하반기 국내 시장은 전년 동기 대비 큰 감소폭을 보였다. 다만 삼성전자, 애플 등 주요 브랜드 플래그십 모델 출시로 5G 점유율은 7%p 증가한 89.1%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5G 점유율을 달성했다.
특히 800달러 이상 플래그십 제품군 점유일이 5.6%p 증가해 59.7%를 기록했다.
한국IDC는 전세계 경기 침체에 따른 여파가 중저가 제품군이 공략하는 소비그룹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했다.
반면 상대적으로 기술적 이점이 큰 프리미엄 제품군 시장에는 소비자가 몰리며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됐다.
이는 고환율에 따른 출시가 인상으로 시장 점유율이 증가한 측면도 있으나, 제조사가 양극화 현상에 따라 플래그십 판매에 주력한 것이 영향을 끼쳤다는 평가다.
지난해 하반기 국내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전년 대비 8.8%p 증가한 30.1%을 기록했다. 삼성전자 갤럭시Z 폴드4·플립4가 안정적으로 시장엔 안착하면서 소비자 수요를 이끌어낸 영향이다.
한국IDC는 올해 상반기 시장은 전년 대비 3.7% 감소한 760만대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속적인 고물가·고금리 여파로 경기 둔화에 직면하면서 소비자 수요가 감소하는 탓이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 애플 등 주요 브랜드가 플래그십 제품군 강화와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한 노력을 할 것으로 예상했다.
강지해 한국IDC 연구원은 “국내외 경제 불확실성 가중 및 실물 경제 둔화 우려로 2023년 역시 소비 심리가 위축되는 현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제조사는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수익성 확보에 집중하고, 소비자 수요에 민첩하게 대응하며 위축된 스마트폰 수요를 견인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T시장분석 및 컨설팅 업체 인터내셔날데이터코퍼레이션코리아(한국IDC)는 20일 지난해 하반기 국내 스마트폰 시장 출하량이 약 713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14.5% 감소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하반기 국내 시장은 전년 동기 대비 큰 감소폭을 보였다. 다만 삼성전자, 애플 등 주요 브랜드 플래그십 모델 출시로 5G 점유율은 7%p 증가한 89.1%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5G 점유율을 달성했다.
특히 800달러 이상 플래그십 제품군 점유일이 5.6%p 증가해 59.7%를 기록했다.
한국IDC는 전세계 경기 침체에 따른 여파가 중저가 제품군이 공략하는 소비그룹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했다.
반면 상대적으로 기술적 이점이 큰 프리미엄 제품군 시장에는 소비자가 몰리며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됐다.
이는 고환율에 따른 출시가 인상으로 시장 점유율이 증가한 측면도 있으나, 제조사가 양극화 현상에 따라 플래그십 판매에 주력한 것이 영향을 끼쳤다는 평가다.
지난해 하반기 국내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전년 대비 8.8%p 증가한 30.1%을 기록했다. 삼성전자 갤럭시Z 폴드4·플립4가 안정적으로 시장엔 안착하면서 소비자 수요를 이끌어낸 영향이다.
한국IDC는 올해 상반기 시장은 전년 대비 3.7% 감소한 760만대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속적인 고물가·고금리 여파로 경기 둔화에 직면하면서 소비자 수요가 감소하는 탓이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 애플 등 주요 브랜드가 플래그십 제품군 강화와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한 노력을 할 것으로 예상했다.
강지해 한국IDC 연구원은 “국내외 경제 불확실성 가중 및 실물 경제 둔화 우려로 2023년 역시 소비 심리가 위축되는 현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제조사는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수익성 확보에 집중하고, 소비자 수요에 민첩하게 대응하며 위축된 스마트폰 수요를 견인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HD현대, 페루와 방산 협력 확대...잠수함 공동개발 MOU
2이석준 농협금융 회장, 강원도 찾아 ‘사랑의 김장김치 나눔’
3LG엔솔, 美 ‘베어로보틱스’에 배터리 단독 공급
4'성인용품 구경해볼까' 김성령, 출연 결심한 이유는
5더 말보리스트, 드링크 비즈니스 선정 ‘쇼비뇽 블랑 마스터즈’ 금메달 수상
6주가 반등 계기? 삼성전자 자사주 매입에 '갑론을박'
7내부 부진 장기화에 팬데믹 수준 '고용한파'…청년층 '직격'
8‘대세’된 미국 주식…토스증권 리서치센터장이 말한 최고 수혜주는
9강남역 뚫고 인천문학경기장 땅 만든 ‘발파왕’...광산에서 도심 발파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