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핑하기 무섭네” 의류·신발 물가 6.1%↑ 11년만에 최고
아동·유아복과 캐주얼 의류 상승률 높아
외부 활동 늘면서 의류 수요 확대
[이코노미스트 마켓in 김윤주 기자] 올해 3월 의류·신발 물가가 1년 전보다 6% 이상 훌쩍 뛰었다. 이는 약 11년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코로나19 거리 두기 해제로 외부 활동이 늘면서 의류 수요도 확대된 것으로 풀이된다.
23일 통계청의 지출목적별 소비자물가지수를 보면 지난 3월 의류 및 신발 물가는 1년 전보다 6.1% 상승했다. 이는 2011년 11월 6.3%를 기록한 이후 11년 4개월 만에 최고치다.
의류 및 신발 물가는 2018년 4월(2.3%) 이후 코로나19 확산기까지 줄곧 0∼1%대의 낮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2019년 4∼6월엔 오히려 0.1∼0.2% 뒷걸음질 치기도 했다.
이후 단계적 일상 회복이 시작된 2021년 11월(1.4%)부터는 의류·신발 물가가 상승세를 나타냈다. 거리두기가 완전히 해제된 다음 달인 작년 5월엔 3%대, 작년 11월엔 5%대 상승률을 보였고 지난달엔 6%대까지 올랐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작년 7월 6.3%에서 지난달 4.2%로 둔화한 것과 대비된다.
의류·신발 물가를 품목별로 보면 특히 아동복·유아복(9.6%)과 캐주얼 의류(6.9%)의 상승률이 높았다. 여자 의류 물가는 5.4%, 남자 의류는 3.6% 올랐고 기타 의류와 의류 장신구는 3.8% 올랐다. 의류 세탁과 수선, 임차 물가는 12.2% 상승했다.
신발 물가 상승률은 5.9%였다. 의류·신발 물가가 오른 것은 코로나19 기간 위축됐던 외부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의류 수요가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의복 소매판매액지수(계절조정)는 작년 12월(13.5%)부터 올해 1월(2.2%), 2월(8.0%)까지 3개월 연속 전월 대비 상승했다. 전년 동월 대비(불변지수) 상승률은 작년 12월 1.8%, 올해 1월 2.8%, 2월 12.8% 등이다.
한편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지난달 4.2%를 기록해 1년 만에 가장 낮았다.
지난달 물가 상승률이 둔화한 것은 석유류 가격 하락에 기인한 측면이 커 향후 국제 유가와 근원물가 흐름을 지켜봐야 한다. 국제 유가는 이달 초 석유수출국기구(OPEC) 플러스의 감산 발표 이후 오름세를 보였으나 지난주 하락세로 전환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3일 통계청의 지출목적별 소비자물가지수를 보면 지난 3월 의류 및 신발 물가는 1년 전보다 6.1% 상승했다. 이는 2011년 11월 6.3%를 기록한 이후 11년 4개월 만에 최고치다.
의류 및 신발 물가는 2018년 4월(2.3%) 이후 코로나19 확산기까지 줄곧 0∼1%대의 낮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2019년 4∼6월엔 오히려 0.1∼0.2% 뒷걸음질 치기도 했다.
이후 단계적 일상 회복이 시작된 2021년 11월(1.4%)부터는 의류·신발 물가가 상승세를 나타냈다. 거리두기가 완전히 해제된 다음 달인 작년 5월엔 3%대, 작년 11월엔 5%대 상승률을 보였고 지난달엔 6%대까지 올랐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작년 7월 6.3%에서 지난달 4.2%로 둔화한 것과 대비된다.
의류·신발 물가를 품목별로 보면 특히 아동복·유아복(9.6%)과 캐주얼 의류(6.9%)의 상승률이 높았다. 여자 의류 물가는 5.4%, 남자 의류는 3.6% 올랐고 기타 의류와 의류 장신구는 3.8% 올랐다. 의류 세탁과 수선, 임차 물가는 12.2% 상승했다.
신발 물가 상승률은 5.9%였다. 의류·신발 물가가 오른 것은 코로나19 기간 위축됐던 외부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의류 수요가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의복 소매판매액지수(계절조정)는 작년 12월(13.5%)부터 올해 1월(2.2%), 2월(8.0%)까지 3개월 연속 전월 대비 상승했다. 전년 동월 대비(불변지수) 상승률은 작년 12월 1.8%, 올해 1월 2.8%, 2월 12.8% 등이다.
한편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지난달 4.2%를 기록해 1년 만에 가장 낮았다.
지난달 물가 상승률이 둔화한 것은 석유류 가격 하락에 기인한 측면이 커 향후 국제 유가와 근원물가 흐름을 지켜봐야 한다. 국제 유가는 이달 초 석유수출국기구(OPEC) 플러스의 감산 발표 이후 오름세를 보였으나 지난주 하락세로 전환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이스라엘-헤즈볼라 휴전 임박 소식에 방산株·ETF ‘와르르’
2성공적 마무리 KGMA, 'K-팝 시상식' 패러다임 바꿨다
3서울신라호텔, 프랑스 파리서 한국 대표로 한식 알렸다
4금투협 “11월 금통위 기준금리, 시장참여자 83%가 동결 예상”
5비트코인, 10만 달러 앞두고 '하락세'…9만 4000달러선 하회
6삼성운용, KODEX 미국S&P500TR 순자산 2조 돌파 이벤트
7"트럼프, 취임 첫날 멕시코·캐나다 제품에 25% 관세"
8기아, ‘더 뉴 EV6 GT’ 계약 개시
9엔비디아 주가 4% 이상 하락…美 반도체 수출 제한 우려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