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 가스 분리막 전문업체 ‘에어레인’에 투자
SK아이이테크놀로지와 공동 투자…“탄소 포집 시장 선점”

에어레인은 분리막 생산과 이를 이용한 분리막 모듈‧시스템 설계, 생산, 기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에어레인은 국가 지정 분리막 연구실에서 시작해 사업 초기 에어프로덕츠, 아사히글라스 엔지니어링, 미쓰비시 가스화학 등의 OEM(주문자 상표 부착) 제품 생산과 공동 개발을 통해 기술력을 쌓아왔다.
에어레인은 현재 가스 분리막 전반에서 글로벌 수준의 상업 기술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향후 바이오가스를 원료로 고순도 청정수소 생산 시 필요한 이산화탄소 분리 시스템을 수소 충전소나 연료전지 발전소에 공급하는 사업 확장도 추진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과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LiBS 제조 기술을 에어레인의 가스 분리 기술과 결합해 분리막 포집 시장을 개척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높은 효율성을 가진 신규 고성능 분리막을 개발해 시장을 선점하고 에어레인이 현재 보유한 분리막 기술 고도화에도 협력한다. 탄소 포집에 필요한 경쟁력 있는 분리막 기술 확보를 통해 향후 북미와 유럽 등 해외 시장 진출을 모색한다.
분리막을 활용한 탄소 포집은 기존 습식이나 건식의 한계를 극복할 대안으로 꼽힌다. 현재 보편화된 습식은 액상 흡수제를 활용해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법이다. 규모를 키워 포집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대규모 부지 확보, 흡수제 재생에 필요한 많은 에너지, 흡수제 분해 및 그에 따른 환경 유해 물질 발생 등의 단점이 있다. 건식은 에너지 소모가 습식보다 적은 고체 흡착제로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비용을 아끼고 설비 소형화가 가능하지만, 흡착제 마모와 뭉침 현상 때문에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와 비교해 이산화탄소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막을 활용해 포집하는 분리막 방식은 막 이외에 화학 물질, 물 등을 사용하지 않아 폐기물이나 폐수 발생이 없다. 분리막 모듈 형태로 제작돼 작은 면적에 설치할 수 있어 설비, 배관 등이 복잡한 공장에 최적인 방법으로 인식된다.
강동수 SK이노베이션 포트폴리오부문장은 “이번 SK이노베이션과 SK아이이테크놀로지가 공통 투자한 분리막 포집 기술뿐만 아니라, SK에너지의 활용 기술, SK어스온의 저장 기술 등 SK이노베이션 계열의 역량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에서 CCUS 분야 경쟁력을 적극 키워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기아, 다문화 청소년 위한 ‘하모니움’ 교육 프로그램 본격 가동
2티웨이항공, 유럽 항공권 프로모션 실시
3 대구 북구 산불 진화 헬기 추락
4 尹 "자유와 주권 수호를 싸운 여정, 역사로 기록될 것"
5“트럼프, 손 떼라”...美 전역서 ‘反트럼프 시위’ 열려
6머스크 “美·EU, 무관세 필요해”...‘관세 폭탄’ 트럼프와 ‘엇박자’
7국회 벚꽃, 올해는 멀리서...“봄꽃 축제 기간 외부인 출입 제한”
8 민주 "민간인 尹·김건희 신속 수사를…국헌문란 증명돼"
9국민신문고에 쏟아지는 분노…불만 3대장은 ‘이동통신·상품권·항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