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지하철 요금 하반기 150원 인상 검토…추후 추가 인상
코레일, 서민부담 우려해 분리 인상 제안
“원래 300원 인상 계획, 물가 상승 부담 등 이유로 미뤄져”

1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서울시와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등 지하철 관계기관 사이의 요금 인상 관련 협의에서 지하철 요금을 올해 하반기 150원만 우선 올리는 안이 논의되고 있다.
백호 서울교통공사 사장 후보자는 이날 서울시의회 인사청문회에 대중교통 요금 인상 계획을 묻는 더불어민주당 김경 시의원의 질의에 “4월에 300원을 인상할 계획이었으나 서민 물가 상승 부담 등의 이유로 미뤄졌다”며 “이를 분리해 올해 하반기 150원을 인상할 계획을 잡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당초 서울시는 하반기 중 300원을 한 번에 올릴 예정이었다. 그러나 코레일이 물가 상승에 따른 서민 부담을 고려해 요금 인상을 단계적으로 나눠서 하자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하반기 중 150원을 먼저 올리고 나머지 150원은 추후 인상 시점을 다시 조율하자는 것이다.
따라서 올해 하반기 150원을 일단 올리고 이후 150원을 한 차례 더 인상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내년 총선을 고려하면 추가 인상 시기는 내년 하반기나 내후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정부 동의 없이 지하철 요금을 자체적으로 올릴 수는 있으나 승객 편의를 위해선 운영 노선이 이어지는 코레일과 인천, 경기도 등 관계기관과 협의가 필요하다.
하반기 버스 기본요금 인상은 당초 계획대로 단행될 전망이다. 인상 폭은 간·지선버스 300원, 광역버스 요금은 700원, 마을버스는 300원, 심야버스는 350원이다.
시는 조만간 최종 요금 인상안을 확정해 6월 물가대책위원회에 상정할 예정이다. 하반기 요금 인상 시기는 8∼9월로 예상된다.
백 후보자는 이날 청문회에서 요금 인상 없이는 공사의 적자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토로했다. 현재 공사의 부족 자금은 약 1조6800억원에 달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경제계, 尹 파면에 “헌재 결정 존중…대립과 갈등 넘어 경제회복에 힘 모아야”
2‘미르4’부터 ‘레전드 오브 이미르’까지 블록체인 게임에 진심인 위메이드
3농협은행서 205억원 금융사고…외부인 대출상담사가 실행
4BYD 한국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5 이재명 "진짜 대한민국 시작…무너진 민주주의 회복을"
6"정치적 그라운드 제로"…'尹 파면' 외신도 앞다퉈 보도
7탄핵 인용에 코스피 혼조, 코스닥 상승…정치 테마주 출렁
8국민의힘 "헌재 결정, 겸허히 수용…국민께 사과"
9헌정 사상 두 번째 탄핵...'재판관 전원일치' 尹 대통령 파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