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총선 1년 앞두고 몸 사리는 네이버·카카오…뉴스 댓글 개편 예고

여론 조작 등 부작용 최소화 기능 도입
정치권 비판 의식했나…6월 적용 예정

네이버(왼쪽)와 카카오 로고. [제공 각 사]

[이코노미스트 정두용 기자] 국내 양대 포털 네이버·카카오가 뉴스 댓글 서비스 개편을 예고했다. 여론 조작 등 뉴스 댓글 서비스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겠단 취지다. 일각에선 양대 포털의 이 같은 변화가 제22대 국회의원 총선을 1년 앞둔 시점에 나타나 ‘정치적 입김’이 작용한 것 아니느냐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제22대 총선은 2024년 4월 10일로 예정돼 있다.

17일 IT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네이버뉴스 댓글의 운영정책을 변경한다. 네이버뉴스 신규 댓글 운영정책은 오는 6월 1일 적용될 예정이다. 포털 다음(Daum)을 운영하는 카카오 역시 6월 중으로 신규 댓글 서비스를 선보인다.

네이버는 신규 운영정책을 통해 네이버뉴스 내 적용되는 댓글 모음 프로필 정보를 강화한다. 부적절한 표현이나 반복 작성 등으로 이용 제한이 걸릴 경우, 이를 푸는 방식도 까다롭게 바뀐다. 댓글 이용 제한을 풀려면 사용 규칙 등에 대한 퀴즈를 푸는 절차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용자 프로필에도 댓글 이용 제한 여부가 표기될 전망이다.

카카오는 포털 다음의 댓글 서비스를 ‘실시간 소통’에 맞춰 개편할 계획이다. 일부 사용자의 의견이 대표적 의견으로 보일 수 있다는 점을 완화하겠단 취지로 보인다. 회사는 향후 구체적 개편안을 공지할 계획이다.

업계 일각에선 양사의 이 같은 변화가 정치적 입김이 반영된 결과라고 해석한다. 최근 여당을 중심으로 플랫폼 영향력에 대한 비판이 지속해 제기되고 있다. 정치권에서 나올 수 있는 지적 사항을 양사가 총선 전에 미리 보완에 나섰다는 견해다.

실제로 정치권에선 지난 3월부터 포털사에 대한 강도 높은 비판을 이어가고 있다. 국민의힘 이철규 사무총장은 지난 3월 28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를 통해 “(네이버가) 권력에 취해 간이 부어도 단단히 부었다”며 “독과점 기업을 넘어서 이제 대한민국을 사실상 좌지우지하는 빅브라더 행태를 보이는 네이버의 오만한 작태를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윤석열 대통령도 지난 3월 29일 제2차 민주주의 정상회의에 참석해 “온라인을 타고 전방위로 확산되는 가짜뉴스는 자유를 보장하는 민주주의를 위협하고 있다”며 “잘못된 허위 정보와 선동은 국민의 의사결정을 왜곡하고 선거와 같은 민주주의의 본질적 시스템을 와해시킨다”고 말한 바 있다. 특정 플랫폼을 직접 언급하지 않았지만, 온라인 뉴스 소비의 60% 이상이 네이버에서 이뤄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저격 발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발표한 ‘2022 언론 수용자 조사’ 결과에 따르면 포털뉴스 점유율은 네이버가 67%다. 다음은 19%, 구글은 11%를 기록했다.
국민의힘 이철규 사무총장이 3월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여권을 중심으로 최근에는 네이버·카카오가 ‘실시간 검색어’ 부활을 통해 정치적 영향력을 높이려고 한다는 지적도 내놓고 있다. 네이버는 ‘트렌드 토픽’을, 카카오는 ‘투데이 버블’이란 기능을 각각 포털에 반영할 계획이다. 키워드를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콘텐츠를 추천하는 기능이 핵심이다. 양사 모두 “실시간 검색어의 부활이 아니다”는 입장을 누차 강조하고 있지만, 여권에선 여전히 의심의 눈을 거두지 않고 있다.

정부 부처도 해당 문제를 들여다보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14일 거대 포털이 가짜뉴스의 소비·유통 플랫폼으로도 기능하고 있다는 사회적 의심과 비판을 ‘가짜뉴스 퇴치 TF’을 통해 살펴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사 배열 등 알고리즘 투명성 확보나 여론 다양성 확보 등에 대한 제도 개선책을 논의할 방침이다.

상황이 이래지자, 양대 포털 기업이 ‘알아서 몸 사리기’ 차원에서 댓글 운영 정책 개편을 내놓았다는 시각이 나온다. 네이버는 앞서 지난 2020년 3월 연예 뉴스 댓글·답글의 작성 서비스를 중단했다. 스포츠 분야는 2020년 9월부터 서비스를 막았다. 당시 인격 모독 및 사생활 침해 논란이 제기된 데 따른 결단이다. 당시 회사는 ‘인물 연관검색어’ 서비스도 함께 폐지하면서 자정 노력을 기울여 왔다.

카카오 역시 2018년 4월 복수 댓글의 반복적 작성을 제한하는 기능을 도입했다. 연예뉴스 댓글 폐지는 2019년 10월에 이뤄졌다. 스포츠 분야 댓글은 2020년 8월부터 작성을 막았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금리 인상도 인하도 없다” 한은, 기준금리 11차례 동결 ‘관망세’

2자산관리 명가 한국투자증권이 말하는 초고액자산가 투자·절세 전략은

3은행장 만난 이창용 한은 총재 “금리인하 시기 불확실성 증대”

4의대 3곳 경찰 수사의뢰…장소 이탈 제한 후 “동맹 휴학계 제출” 강요

5“전세사기 피해주택, 경매차익으로 지원…10년 무상 임대”

6가스요금 7월 인상될까…정부 “전기와 가스는 달라”

7‘소유진의 남자’ 백종원, 30년 키운 회사 ‘4000억’ 잭팟 노려

8이복현 “공매도 빠른 재개 원해…전산시스템 내년 1분기에나 가능”

9금감원·한은 채용 시험 대리 응시 쌍둥이 형제 결국 “들켰다”

실시간 뉴스

1“금리 인상도 인하도 없다” 한은, 기준금리 11차례 동결 ‘관망세’

2자산관리 명가 한국투자증권이 말하는 초고액자산가 투자·절세 전략은

3은행장 만난 이창용 한은 총재 “금리인하 시기 불확실성 증대”

4의대 3곳 경찰 수사의뢰…장소 이탈 제한 후 “동맹 휴학계 제출” 강요

5“전세사기 피해주택, 경매차익으로 지원…10년 무상 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