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청년도약계좌 금리 두고 ‘대략난감’…“팔수록 손해”
14일 최종금리 공시 앞두고 고심
금리차 크면 특정은행 가입자 쏠릴 수도
“수천억 손실 가능성” 은행권의 고민
![](/data/ecn/image/2023/06/13/ecn20230613000062.600x.0.jpg)
금리 더 올리라는 당국...“이미 역마진 상품” 토로
13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내 은행들은 오는 15일 청년도약계좌를 출시하는 가운데 최종금리 수준을 두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앞서 은행들은 청년도약계좌의 기본금리로 3.5%(IBK기업은행 4.5% 제외)를 제시했고 소득우대금리는 0.5%, 은행별로 급여이체, 카드실적, 마케팅 동의 등에 따라 붙는 우대금리를 1.5~2%로 책정했다. 이 조건들을 감안하면 최종금리는 6~6.5% 수준이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청년이 매달 최대 70만원씩 5년을 모으면 5000만원 내외의 목돈을 만들 수 있다. 가입자가 매월 40만∼70만원을 적금 계좌에 내면 정부가 월 최대 2만4000원을 더해주고, 이자소득에 비과세 혜택을 부여해 주는 식이다.
만약 청년이 월 70만원씩 5년간 납부해 6%의 금리를 적용받으면 총 4840만원(정부기여금 제외)을 모을 수 있다. 이자로만 640만원을 받는 셈이라 나쁜 조건이 아니다.
하지만 정부는 은행권이 제시한 청년도약계좌 금리 조건이 못마땅한 분위기다. 현재 청년도약계좌 우대금리 조건은 은행별로 차이가 있지만 ▲월 30만원 이상 카드결제 실적, 가입기간 절반 이상 유지 ▲급여 이체 실적기간 따라 우대금리 차등 적용 ▲마케팅 동의 ▲첫 거래 우대 ▲공과금 자동납부 연동 등이다.
일부 조건들은 5년이라는 기간 동안 유지하기 힘들 수 있어 금융당국은 은행권에 우대금리 조건을 완화하지 못할거면 기본금리 자체를 높이라는 주문이다.
은행권은 난감하다. 우대금리 조건은 잠재고객, 충성고객 등을 위해 만든 것이지 금리 조건을 불리하게 하려는 목적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또 현재도 역마진이 예상되는 상품에서 기본금리를 더 높이면 은행권 손실이 커질 수밖에 없다.
최종금리 수준을 두고도 은행권의 고심이 깊어진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대상은 만19~34세로 ‘상품 비교’에 매우 밝은 MZ세대다. 이들은 기본금리, 우대금리 조건들을 따져보고 0.1%p라도 금리가 높은 은행 상품에 가입할 가능성이 높다.
만약 기본·우대금리 조정 후 다른 은행보다 최종금리가 높으면 가입자가 한꺼번에 쏠려 해당 은행의 손실이 더 커질 수도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최종금리를 두고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라며 “은행별로 금리 차이가 커지면 특정은행에 가입자가 쏠릴 수 있어 금리 조정에 조심스러운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또 청년도약계좌는 3년간 고정금리로 진행되다가 나머지 2년은 변동금리로 바뀐다. 3년 내에 금리가 더 하락하면 은행들은 수천억원의 손실을 볼 수도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사회공헌 차원에서 100억~200억원 정도의 손실은 은행들이 감내할 수 있지만 그 이상의 비용이 들면 부담스러운 것이 사실”이라고 밝혔다.
이에 은행권은 청년도약계좌 가입자를 일정 수준 받으면 더이상 가입을 받지 않는 ‘가입자 수 기준’ 신설을 원하고 있다. 이러면 자연스럽게 가입자가 분산돼 은행들이 손실 부담을 덜 수 있다는 얘기다.
다만 당국이 이보다는 기본금리 인상과 우대금리 완화를 우선시 하는 분위기라 은행 입장에서는 속이 타는 상황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당국은 ‘청년들이 5년 후 5000만원을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굉장히 강조하고 있는데 정작 금리가 낮으면 이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보니 강하게 은행들을 압박하고 있다”며 “청년들에게 청년도약계좌는 목돈 마련의 기회겠지만 은행들에게는 불편한 상품이 될 것 같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코인원, 이성현 COO 공동대표로 선임
2‘기타맨’ 제작자 “故 김새론, 복귀 의지 강했다”
3농심, 네덜란드 판매법인 신설...“2030년 유럽매출 4배로 키운다”
4hy, 국내 최초 위 건강 이중제형 ‘윌 작약’ 출시
5서울시,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속도낸다…"통합심의 적극 추진"
6“타는 냄새”…공덕역 연기 발생해 무정차 통과 중
7 권영세 “尹 하야, 고려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옳은 방법 아냐”
8서울 아파트 평당 매매가 4천만원 붕괴…전월 대비 5.2%↓
9‘이민정♥’이병헌, 늦둥이 딸 손잡고 산책... 딸바보 다 됐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