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두나무, 임직원과 함께 탄소 중립 위한 나무심기 봉사활동 진행

임직원 및 가족 40여명과 국립춘천숲체원 내 숲 조성
미세먼지 저감 위해 화살나무 등 151그루 식재

지난 17일 두나무 임직원 및 가족들이 국립춘천숲체원에서 진행된 나무심기 봉사활동에서 나무를 심고 있다. [사진 두나무]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두나무가 지난 17일 임직원 및 임직원 가족들과 함께 국립춘천숲체원에서 나무심기 봉사활동을 진행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봉사활동은 두나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키워드 중 하나인 ‘나무’의 일환이다. 지속되는 기후 위기 속 숲 가꾸기를 통해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절감하고 탄소 중립을 실천하기 위해 마련됐다는 설명이다. 두나무는 지난해 6월에도 국립 양평 치유의 숲에서 임직원 및 임직원 가족 4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교통 약자를 위한 작은 숲 조성 봉사활동을 진행한 바 있다.

지난 17일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국립춘천숲체원에서 진행된 나무심기 봉사활동은 두나무 임직원과 임직원 가족 등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숲 전문가로부터 나무 심기의 중요성과 방법에 대한 설명을 듣고 화살나무, 복자기나무 등 151그루의 나무를 숲 조성 부지에 식재했다. 이외에도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해 부처꽃, 은방울꽃 등 다양한 종류의 야생화도 나무 주변에 심었다.

이번 나무심기 봉사활동의 주요 식재 수종인 화살나무는 도시 숲과 정원 관목으로 널리 사용되는 수목 중 탄소 저장량과 흡수량이 높고, 미세먼지를 저감하는 능력이 높아 식수로 선정됐다. 나무 1그루의 연간 탄소 흡수량을 8kg으로 가정했을 때, 이번 봉사활동을 통해 연간 총 1.2톤의 탄소 흡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봉사활동이 진행된 국립춘천숲체원은 연간 약 54만명이 찾는 산림청 산하 공공기관인 한국산림복지진흥원의 소속 기관이다. 노약자·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취약 계층과 자연을 사랑하는 시민들 모두 자유롭게 숲을 즐길 수 있도록 산림 교육 등 다양한 산림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두나무는 이번 봉사활동 이후에도 국립춘천숲체원을 찾는 방문객들을 위해 히어리·생강나무 등 나무 1300여 그루와 참나리·금낭화 등 야생화 3900본을 0.2ha(헥타르) 규모 부지에 식재할 수 있도록 기부를 더할 예정이다.

봉사활동에 참여한 두나무 임직원은 “이번 봉사활동을 통해 가족과 함께 탄소 중립을 실천할 수 있어 좋았다”고 말했다.

이석우 두나무 대표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두나무 임직원들이 나무심기를 통해 탄소 중립에 기여할 수 있어 기쁘다”며 “환경, 치유 등 다방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우리 숲을 지킬 수 있도록 앞으로도 ‘나무’와 관련된 다양한 ESG 활동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LH, 지난해 영업익 3404억원…전년대비 679% 증가

2서울시, 토허제 입주권 실거주 의무 유예 검토

3트럼프 관세 폭탄에 구찌‧루이비통 글로벌 명품시장도 ‘안사요’

4‘마영전’ IP 신작 ‘빈딕투스: 디파잉 페이트’, 6월 글로벌 알파 테스트 실시

5유튜버 허성범·1타 강사 김민정…우리금융 찾은 사연은?

6퓨리오사AI 방문한 이재명...“중요한 건 먹고 사는 문제, 희망 보인다”

7한미약품, 美 AACR서 비임상 연구 성과 11건 발표

8네이버,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한국의 핫플 소개하는 ‘비로컬’(BE LOCAL) 캠페인 선보여

9크래프톤, 펍지 스튜디오와 산불피해 복구를 위한 성금 12억원 전달

실시간 뉴스

1LH, 지난해 영업익 3404억원…전년대비 679% 증가

2서울시, 토허제 입주권 실거주 의무 유예 검토

3트럼프 관세 폭탄에 구찌‧루이비통 글로벌 명품시장도 ‘안사요’

4‘마영전’ IP 신작 ‘빈딕투스: 디파잉 페이트’, 6월 글로벌 알파 테스트 실시

5유튜버 허성범·1타 강사 김민정…우리금융 찾은 사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