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정기예금 금리 연 4%로 오르자…6월 통화량 18조원 증가

한국은행 '통화 및 유동성' 통계 발표
M2 통화량 4개월 만 증가 전환

서울 중구 하나은행에서 직원이 5만원권을 정리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용우 기자] 지난 6월 통화량이 18조원 증가했다. 은행 정기 예·적금 금리가 높아지며 돈이 몰린 탓이다. 

한국은행이 11일 공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6월 평균 광의 통화량(M2 기준)은 3803조3000억원으로 전월보다 0.5%(18조원) 늘었다.

M2 통화량은 3월 0.2%, 4월 0.4%, 5월 0.3% 등 석 달 연속 감소한 뒤 4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했다.

M2는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다.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이상 M1) 외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금, 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이 포함된다.

금융상품 중에서는 2년 미만 정기 예·적금이  9조5000억원 늘었다. 예금은행의 순수저축성예금 수신금리(신규 기준)가 지난 5월 연 3.50%에서 6월 3.65%로 오르면서 정기예금으로 시중 자금이 몰린 것으로 보인다. 

은행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의 '우리 첫거래우대 정기예금' 금리와 SC제일은행의 'e-그린세이브예금' 금리는 최고 연 4.10%를 기록했다. 

정기예금 자금 확대와 반대로 요구불예금은 2조9000억원 감소했다. 정기 예·적금으로 자금이 이동한 영향이다. 

수익증권은 주식형·채권형 펀드를 중심으로 6조6000억원 증가했다.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금식예금만 포함하는 좁은 의미의 통화량 M1은 1175조9000억원으로 한 달 새 0.3%(3조4000억원) 감소했다. 2022년 6월 이후 13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갤럭시, 접고 끼고 AI 장착…‘언팩 초대장’ 보낸 삼성전자, 링·폴드·플립 공개

2이복현 “상속세·금투세 등 의견 피력…하반기 ‘골든타임’”

3토스뱅크·광주은행, 올해 3분기 ‘공동대출’ 출시

4연세의대 교수비대위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5‘롯데 3세’ 신유열 시대 열린다...日 지주사 사내이사로

6M캐피탈 구원투수 나선 메리츠증권…평가 엇갈린 배경은

7우리금융, 1년 3개월간 금융사고 9건 발생

8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

9한은 “자영업자 취약차주 비중 12.7%…채무재조정 필요”

실시간 뉴스

1갤럭시, 접고 끼고 AI 장착…‘언팩 초대장’ 보낸 삼성전자, 링·폴드·플립 공개

2이복현 “상속세·금투세 등 의견 피력…하반기 ‘골든타임’”

3토스뱅크·광주은행, 올해 3분기 ‘공동대출’ 출시

4연세의대 교수비대위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5‘롯데 3세’ 신유열 시대 열린다...日 지주사 사내이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