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선제적 제판분리로 성장 기틀 다졌다

[2023 100대 CEO] 71위 여승주 한화생명 사장

1960년생, 서울 경복고, 서강대 수학, 2012년 한화그룹 경영기획실 전략팀 팀장, 2015년 한화투자증권 사내이사, 2016년 한화투자증권 대표이사, 2017년 한화생명 부사장, 2019년 한화생명 대표이사 사장(현) [사진 한화생명]
[이코노미스트 김정훈 기자] 한화생명에게 2019년은 기억하고 싶지 않은 해다. 당기순이익과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하락하며 위기가 찾아왔다. 당시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며 변액보증준비금 적립 부담이 커져 순이익이 크게 감소한 것이 주 원인이다. 여기에 운용자산이익률도 3%대 초반으로 내려앉았다.

보험업계에는 재무 감각을 갖춘 경영자 수요가 커졌다. 한화생명이 2019년 3월, 한화그룹을 대표하는 재무·금융 전문가인 여승주 대표이사 사장을 선임한 이유다. 그리고 여 사장은 이후 한화생명의 실적을 크게 향상시키며 2021년에 이어 올해도 연임에 성공, 3년 더 회사를 이끌게 될 만큼 성공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여 사장은 취임 후 신계약 가치 증가와 함께 보장성보험 강화에 공을 들여왔다. 그 정점은 2021년 4월 단행한 제판분리(제조와 판매분리)다. 한화생명은 보험설계사 조직을 분리해 자회사형 법인보험대리점(GA)인 한화생명금융서비스로 이전시켰다. 본사는 보험상품 개발에 집중하고 판매는 GA가 담당하는 효율적 구조를 통해 영업가치 극대화를 꾀했다. 올 1월에는 GA업계 1위인 피플라이프까지 인수해 덩치를 키웠다. 이로써 한화생명은 총 3개 대형 GA를 보유해 설계사만 약 2만5000명을 확보했다.

지난 5~6년전부터 보험업계는 올해부터 도입된 새 국제회계기준(IFRS17)에 대비해 보장성보험 판매를 늘려왔다. 여 사장은 향후 전망을 내다보고 선제적인 제판분리를 통해 영업력을 강화하는데 성공했다. 업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기준 한화생명의 신계약 계약서비스마진(CSM)은 10조원을 넘어섰을 것으로 추정된다. 

향후 실적 전망도 밝다. 지난해 한화생명의 영업이익은 319억원으로 전년(2434억원) 대비 86.9% 하락했다. 이는 영업력 하락이 이유라기보다는 보험금 지급액이 약 5조원 증가했기 때문이다. 한화생명의 지난해 영업수익은 21조1800억원으로 전년 16조6847억원 대비 4조원 이상 증가했다. GA 영업 활성화로 한화생명의 매출은 앞으로도 상승곡선을 탈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한화생명의 올 상반기(별도기준) 순익은 513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380% 증가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대법원, 쿠팡 집행정지 인용...“공정위 시정명령 중지”

2음식점에 '최저가 요구'...요기요, 대법서 무죄 선고

3NHN, ‘다키스트 데이즈’ 글로벌 사전 예약 시작

4다시 불붙은 강남 아파트값...토허제 풀린 ‘잠삼대청’이 주도

5“고속도로 전기차 충전 더 쉬워진다”...워터·쏘카, 업무협약 체결

6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2024 임팩트 리포트’ 발간

7 尹, '10차 탄핵심판' 헌재 출석한 뒤 5분여 만에 퇴정

8“창립 이래 최대 성과” PFCT, 투자자 평균 수익률 11.87%

9포켓몬코리아, 메타몽 매력 알리는 ‘메타몽 프로젝트’ 공개

실시간 뉴스

1대법원, 쿠팡 집행정지 인용...“공정위 시정명령 중지”

2음식점에 '최저가 요구'...요기요, 대법서 무죄 선고

3NHN, ‘다키스트 데이즈’ 글로벌 사전 예약 시작

4다시 불붙은 강남 아파트값...토허제 풀린 ‘잠삼대청’이 주도

5“고속도로 전기차 충전 더 쉬워진다”...워터·쏘카, 업무협약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