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 “내수시장 한계…핀테크 글로벌 진출 지원”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3] ①
“국내 핀테크 정체 중…기존과 다른 시도 필요”
기존 금융사와 협업 강조…“AI 활용 금융혁신도 지원”

김 부위원장은 30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아트홀에서 열린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3’에서 환영사에서 “우리나라 핀테크 기업들이 보유한 우수한 기술과 아이디어를 활용하고 좁은 내수시장의 한계를 극복해 스케일업을 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진출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국내 핀테크의 다양성과 혁신이 정체되는 현상을 지적했다. 그는 “디지털 전환 초기에 구축한 인프라(기반)와 사업모델들이 안정화됨에 따라 새로운 혁신금융서비스의 출현이 감소하고 있다”며 “이제는 기존과 다른 성장방식과 새로운 시도가 필요하며, 재도약을 위한 시스템 구축도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런 배경을 기반으로 금융위는 핀테크 정책의 세 가지 방향을 설정했다. 그중 우선이 핀테크 기업들의 글로벌 진출이다.
김 부위원장은 “경험과 인적․물적 인프라가 부족한 핀테크 기업에게 해외 현지 정보와 해외진출 거점의 제공하고, 주요 진출국가의 현지 네트워크를 강화하겠다”며 실질적인 지원에 나서겠다는 약속을 전했다. 이어 국내 핀테크 기업이 해외투자를 유치할 수 있도록 현지 진출 금융기관·핀테크랩 등과 연계한 현지 핀테크 데모데이 개최를 활성화하는 홍보 기회도 확대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또 금융회사와 핀테크 기업 간 협업 강화도 제안했다. 금융회사가 핀테크 기업의 정보와 기술력을 활용하는 기업 간 거래(B2B) 분야는 핀테크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돼줄 것이란 기대 때문이다.
김 부위원장은 “금융회사의 핀테크 기업에 대한 투자, 데이터 및 인적․물적 자원의 공유, 해외공동 진출 등 파트너십 구축을 지원하기 위한 논의의 장을 마련하겠다”며 “다양한 협업이 가능할 수 있도록 본질적 업무에 대한 위탁 허용, 본질적 업무범위 조정 등 업무 위․수탁 제도의 개선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규제 합리화도 약속했다. 핀테크 기업들이 신기술을 토대로 창의적인 역량을 발휘할 수 있게 하겠다는 취지다.
김 부위원장은 “핀테크 기업들이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새로운 금융혁신을 이어갈 수 있도록 중소핀테크 기업의 가명정보 활용 지원하고 합성데이터 활용 가이드라인 마련하겠다”며 “신속하고 편리한 데이터 결합을 위한 정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망분리 관련 규제를 보다 합리화하는 방안도 지속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2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3“4월이 분수령”…3월 가계대출 4000억원 증가에 그쳐
4뷰노, 김택수 최고전략책임자 영입…삼성종기원 출신
5SK에코플랜트, 반도체 기술 가진 스타트업 찾는다
6EV·픽업·자율주행…기아, 다각화 전략으로 미래차 선도
7하이브 방시혁, 3개월 만에 주식 5000억원 늘었다...총수 주식 살펴보니
8“놀이공원 반값에”…신한카드, 봄나들이 시즌 이벤트 주목
9트럼프 ‘보복관세’ 발효…미국, 100년 만에 최고 수준 무역관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