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3가구 중 1가구는 1인 가구…출산율 30년 새 반토막

보건복지부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22’
합계출산율 0.81명…전 연령층 비만율 감소

국내 1인 가구가 2021년 기준 전체 가구 중 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이코노미스트 마켓in 홍다원 기자] 1인 가구 수가 늘어나면서 2021년 기준 전체 가구 중 약 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합계출산율은 2021년 기준 0.81명으로 30년 전과 비교해 반토막 났다. 

보건복지부는 국가승인통계와 다양한 실태조사 결과, 행정통계 등 각종 사회보장 통계를 종합한 사회보장통계집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22’를 발간했다고 17일 밝혔다.

복지부가 사회보장기본법에 따라 2013년부터 발간하는 사회보장통계집은 ▲ 가족·생애주기 ▲ 일·소득보장 ▲ 삶·사회서비스 ▲ 사회재정 등 4개 범주(14개 분야)에 대한 내용을 전반적으로 담고 있다.

이번 통계집에 따르면 국내 1인 가구는 2000년 225만가구에서 2015년 523만가구, 2021년 716만6000여가구로 증가했다. 2021년 기준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가구의 33.4%로 추산됐다. 

합계출산율은 0.81명으로 한 세대 전인 1991년(1.71명)보다 비교하면 절반 이상 감소했다. 지역별로 보면 합계 출산율은 세종이 1.28로 가장 높고 전남도 1.02명으로 1명을 넘었다. 합계출산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서울로, 0.63명을 기록했다. 

15세∼29세 청년고용률은 2021년 44.2%에서 지난해 46.6%로 2.4%P(포인트) 증가했다.

노년 생활 안정을 지원하는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률은 66.9%(남자 60.6%·여자 71.9%)였다.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을 동시 수급하는 비율은 2021년 44.7%로 매년 증가세를 보였다.

만성질환의 주요 원인인 비만율은 2021도 37.1%(남성 46.3%·여성 26.9%)로 2020년(38.3%)에 비해 1.2%P 감소했다. 전 연령층의 비만도가 낮아진 가운데 40대만 39%에서 42.9%로 증가했다.

이번 사회보장 통계집은 통계 운용 지침에 따라 2022년 말 작성된 내용으로 대부분 2021년 기준이고, 일부는 최신 자료가 수록됐다고 복지부는 전했다. 통계집은 전자책으로 사회보장위원회와 보건복지부,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제공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계엄에 산불까지...‘백척간두’ 韓 경제, 성적표 살펴보니

2보스턴 펜웨이파크에 LG전자가 설치한 ‘초대형 LED’ 정체는?

3곤봉으로 유리창 ‘쾅’...尹 파면에 경찰버스 부순 남성 ‘구속’

4대구 산불 진화 중 헬기 추락…조종사 1명 사망

5기아, 다문화 청소년 위한 ‘하모니움’ 교육 프로그램 본격 가동

6티웨이항공, 유럽 항공권 프로모션 실시

7 대구 북구 산불 진화 헬기 추락

8 尹 "자유와 주권 수호를 싸운 여정, 역사로 기록될 것"

9“트럼프, 손 떼라”...美 전역서 ‘反트럼프 시위’ 열려

실시간 뉴스

1계엄에 산불까지...‘백척간두’ 韓 경제, 성적표 살펴보니

2보스턴 펜웨이파크에 LG전자가 설치한 ‘초대형 LED’ 정체는?

3곤봉으로 유리창 ‘쾅’...尹 파면에 경찰버스 부순 남성 ‘구속’

4대구 산불 진화 중 헬기 추락…조종사 1명 사망

5기아, 다문화 청소년 위한 ‘하모니움’ 교육 프로그램 본격 가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