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지방권 땅값 31년 만에 상승…버블붕괴 이후 처음
지방권 평균지가 버블 붕괴 영향 전 수준
삿포로·히로시마·후쿠오카 주택수요 증가 영향
메이지야긴자빌딩 18년 연속 기준지가 1위

[이코노미스트 마켓in 송재민 기자] 일본의 부동산 시장 오름세가 확산하면서 지방권 평균 기준지가도 31년만에 상승세를 기록했다.
19일 아사히신문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보도에 따르면 국토교통성이 발표한 올해 7월 1일 현재 기준지가는 1년 전보다 1.0% 올라 2년 연속 상승세를 이었다. 특히 올해 조사에서는 도쿄·오사카·나고야 등 3대 도시권뿐만 아니라 지방권도 0.3% 상승했다.
기준지가는 국토교통성과 전국 지자체가 매년 7월초에 조사해 공표하는 기준 지점 2만여곳의 땅값으로, 민간의 토지 거래에서 기준 가격으로 활용된다.
이 조사에서 지방권 평균 지가가 상승세를 보인 것은 버블 붕괴의 영향이 본격화하기 전인 1992년 이후 31년 만이다.
다만 지방권 땅값 상승은 인구가 늘면서 주택수요가 증가한 삿포로와 센다이, 히로시마, 후쿠오카 등 일부 지역 위주로 이뤄졌다. 실제 지방권에서 지가가 상승한 곳은 30%가량이고 52%는 인구 감소 등의 영향으로 하락했다고 아사히신문은 전했다.
3대 도시권은 평균 지가 상승률이 작년 1.4%에서 올해 2.7%로 거의 2배 수준으로 높아졌고 용도별로는 상업지 4.0%, 주택지 2.2% 등의 오름세를 기록했다.
한편 이번에 기준지가가 1㎡당 4천10만엔으로 평가된 도쿄의 메이지야긴자빌딩 부지는 올해까지 18년 연속 일본내 전국 1위 기준지가 자리를 지켰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박정희 모가지 따러' 김신조, 역사 뒤안길로…향년 83세
2허윤홍 GS건설 대표 “AI는 피할 수 없는 물결, 생존의 문제와 직결”
3337조원 썼지만 부족하다…한국 복지지출, OECD 평균의 69%
4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5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6“4월이 분수령”…3월 가계대출 4000억원 증가에 그쳐
7뷰노, 김택수 최고전략책임자 영입…삼성종기원 출신
8SK에코플랜트, 반도체 기술 가진 스타트업 찾는다
9EV·픽업·자율주행…기아, 다각화 전략으로 미래차 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