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 연매출 3조 굳힌다…올해 3조6000억원 전망
전년 대비 20% 오를 듯
“4공장 가동률 높인 덕”

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이 회사는 2023년 사업연도 매출 전망을 기존 3억5265억원에서 3조6016억원으로 751억원 올려 잡았다. 4공장 가동률이 높아지며 기업 매출도 커질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회사 측은 “글로벌 제약사가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대규모 위탁생산(CMO) 계약을 추진해 4공장 가동률이 예상보다 빠르게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실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제약사 14곳을 고객사로 확보했다.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과 일라이 릴리, 아스트라제네카, 모더나, 노바티스, 화이자 등과 수주 계약을 체결한 뒤 계약 물량을 확대하거나 협력을 강화해왔다. 올해 체결한 1000억원 이상의 대규모 계약도 8건이다. 누적 수주액은 2조7000억원으로 역대 최고 수준이다. 회사가 설립된 후 수주한 금액은 14조원을 돌파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다른 공장도 모두 가동하고 있는 가운데 공정 효율을 극대화하면 좋은 품질의 바이오의약품을 더 빠르게 생산할 것으로 기대된다. 4공장에서 생산하는 물량에 따른 매출은 이번 3분기부터 실적에 반영될 예정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제약 바이오 분야는 생명과 직결된 분야로 기업의 신뢰도가 사업의 성패를 가른다”며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2년이라는 짧은 시간에도 국제 무대에서 높은 신뢰를 구축해 선도적인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으로 자리 잡았다”고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오세훈 서울시장, 대선 불출마…“비정상의 정상화 위해 백의종군”
2위믹스 생태계 구축으로 국내 블록체인 시장 선도한 위메이드
3 오세훈 서울시장, 대선 불출마 선언
4‘산불사태’ 국민성금 1328억원 모여
5커피값 올려야 생존하는 저가커피의 딜레마
6농심-삼양의 '60년 라면전쟁'...K-푸드, '세계의 별'로 만들다
7주유소 기름값 9주 연속 하락…미국 상호관세 발표 영향
8비트코인 10만 달러 '재탈환' 시동?...연준 '유동성 언급'에 8만 3천 달러 반등
9 트럼프 “일부 예외 있을 수 있지만, 상호관세 10%가 하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