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中 반도체 공장에 장비공급 허용…삼성·SK “양국 정부에 감사”
中 공장에 별도 허가 및 기한 없이 美 반도체 장비 공급
“반도체 생산 운영 불확실성 상당 부분 해소”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9일 브리핑에서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 및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에 대해 별도 허가 절차나 기한 없이 미국산 반도체 장비를 공급하겠다고 최종 결정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이번 미국 정부의 결정은 우리 반도체 기업의 최대 통상 현안이 일단락됐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앞서 미국 정부는 지난해 10월 중국 반도체 기업에 대해 장비 수출을 사실상 금지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에 대해서는 규제를 1년간 유예한 바 있다.
하지만 최근 미국 행정부는 수출통제 당국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경제안보대화 채널을 통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내 반도체 공장을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로 지정한다는 뜻을 우리 측에 밝혔다.
VEU에 포함되면 별도로 건별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다. 사실상 규제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과 쑤저우에서 각각 낸드플래시 생산 공장과 반도체 후공정(패키징)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우시 D램 공장, 충칭 후공정 공장, 다롄 낸드 공장을 운영 중이다.
두 회사는 이번 조치에 대해 양국 정부에 감사하다는 입장을 전했다.
삼성전자는 양국 정부에 감사하다는 뜻을 저하며 중국 반도체 생산 라인 운영에 대한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됐다고 밝혔다.
SK하이닉스도 이번 조치로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안정화가 높아졌다고 전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이재명 “국회 세종의사당·대통령 세종 집무실 임기 내 건립”
2트럼프 "큰 진전"…美·日 무역협상 전격 개시
3“韓 스타트업, 해외 투자 유치 위해선 ‘단일성’ 버려라”
4유사나헬스사이언스, 셀라비브 리서페이싱 앰플 세럼 임상 연구 결과 발표 …2주 만에 피부 개선 효과 입증
5구다이글로벌, 더마 코스메틱 브랜드 ‘닥터나인틴’ 론칭
6이스라엘산 프리미엄 대추야자 브랜드 ‘킹 솔로몬’…가정의 달 맞이 기획 상품 선보여
7뉴욕증시, 급락…트럼프發 대중 반도체 규제 직격탄 영향
8한덕수 29.5%,김문수 21.5%,한동훈 14.1%...보수 대선 후보 적합도 조사
9뉴욕유가 2% 상승…中·美 대신 캐나다산 원유 수입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