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가입자 증가율 0%대…‘가격·서비스 만족스럽지 않다’
19년 5G 상용화 이후 1%대 이하는 처음
3월 이후 둔화세…비싼 요금제 문제로 지적

[이코노미스트 마켓in 송재민 기자] 5세대 이동통신(5G) 가입자 수가 거의 제자리걸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신시장이 포화 상태에 이른 상태에서 서비스의 질과 가격을 고려할 때 아직 4세대 이동통신(LTE)을 이용하는 가입자들이 5G로 갈아탈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란 해석이 나온다.
1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무선통신서비스 가입현황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 9월 말 5G 가입자 수는 3179만5052명으로 8월 말보다 0.9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 5G 가입자 증가율이 1%를 밑돈 것은 2019년 4월 5G 상용화 이후 처음이다.
3월 이후 뚜렷한 둔화세를 보이던 5G 가입자 증가세는 그래도 8월까지는 1%대 초중반을 유지했으나, 9월에는 통신 3사 모두 1% 미만으로 내려앉았다. 심지어 알뜰폰(MVNO) 5G 가입자 수도 8월 말보다 2.23% 늘어나는 데 그쳐 8월 증가율(9.96%)의 4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
그 결과 9월에는 5G 가입자 증가율이 LTE 가입자 증가율을 밑도는 기현상도 발생했다. 9월 LTE 가입자 수는 4천859만29명으로 8월 말보다 2.90% 증가했다.
통신업계에서는 5G 가입자가 거의 제자리걸음하는 것을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보고 있다. 서비스 개시 4년 반이 지난 만큼 LTE에서 5G로 갈아탈 고객층이 많이 남지 않았다는 시각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스마트폰 신제품이 5G로 출시되는 상황에서 아직 LTE를 고집하는 이용자 수가 적지 않다는 것은 결국 서비스와 가격이 만족스럽지 않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많다.
비싼 요금 역시 5G의 매력을 떨어뜨린 원인으로 꼽힌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통신 3사의 5G 요금제 하한선은 4만원대 중후반이고, 30GB 이후 소량 데이터 구간 요금제도 2∼3종에 불과해 저가 요금제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선택을 제약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는 3사와 협의해 내년 1분기 3만원대 5G 요금제를 신설하고, 연내에 5G 단말기의 LTE 요금제 교차 가입을 허용하는 이용약관 개정을 유도하기로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박정희 모가지 따러' 김신조, 역사 뒤안길로…향년 83세
2허윤홍 GS건설 대표 “AI는 피할 수 없는 물결, 생존의 문제와 직결”
3337조원 썼지만 부족하다…한국 복지지출, OECD 평균의 69%
4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5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6“4월이 분수령”…3월 가계대출 4000억원 증가에 그쳐
7뷰노, 김택수 최고전략책임자 영입…삼성종기원 출신
8SK에코플랜트, 반도체 기술 가진 스타트업 찾는다
9EV·픽업·자율주행…기아, 다각화 전략으로 미래차 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