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서울 1순위 청약 경쟁률, 지난해보다 6배 뛰었다

세 자릿수 경쟁률 단 4곳 그쳐…한 자릿수는 7곳
특정 단지 신청자 몰리는 양극화 현상 여전

서울 남산에서 내려다본 아파트일대.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혜리 기자] 서울 지역의 청약 경쟁이 작년의 6배 수준으로 치열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 청약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들어 이달 15일까지 서울 지역에서 청약을 진행한 아파트 단지는 총 28개였다. 

이들 단지의 일반 공급 물량은 4233가구였고, 1순위 청약은 25만2845건이 접수됐다. 이에 따른 올해 서울의 1순위 청약 경쟁률은 59.7대 1로 집계됐다. 지난해 연간 서울 지역의 1순위 청약 경쟁률이 10.2대 1이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6배 수준으로 경쟁률이 뛴 것이다.

지난해 일반 공급 6707가구(19개 단지)에 대한 1순위 청약이 6만8746건에 그쳤던 것을 고려하면 청약 접수 역시 3.5배 이상 수준이 되는 등 청약시장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올해 서울 지역의 청약 경쟁률이 크게 뛴 데에는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된 단지들의 기여가 컸다. 서울 송파구 ‘힐스테이트 e편한세상 문정’은 지난 14일 진행된 청약에서 1순위 평균 경쟁률 152.6대 1로 흥행에 성공했다. 비슷한 조건의 단지인 서울 용산구 ‘용산 호반써밋 에이디션’ 역시 지난 7월 1순위 청약 경쟁률 162.7대 1을 기록한 바 있다.

올해 4월부터 투기과열지구인 서울 4개 구(강남·서초·송파·용산) 전용면적 85㎡ 이하 주택 청약에 추첨제가 도입되면서 경쟁률이 상승했다.

이전까지는 투기과열지구 내 전용 85㎡ 이하 주택은 100% 가점제로 분양돼 상대적으로 청약 가점이 낮은 수요자가 지원하기 어려웠지만, 지금은 전용 60㎡ 이하 민간 아파트는 60%를, 60∼85㎡ 이하는 30%를 추첨제로 공급한다.

또 특정 단지에만 신청자가 몰리는 양극화 현상도 해소되지 않고 있다.

올해 들어 서울에서 청약 경쟁률이 세 자릿수 이상이었던 곳은 힐스테이트 문정과 용산 호반써밋을 비롯해 영등포구 '영등포자이 디그니티'(198.8대 1), 성동구 '청계 SK 뷰'(183.4대 1) 등 4곳뿐이었다. 반면 청약 건수가 공급물량을 겨우 넘기며 한 자릿수의 경쟁률을 기록한 단지는 7곳에 달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홍준표 “25번째 이사, 마지막 꿈 위해 상경”

2화해, 전 세계 피부에 닿는다…K-뷰티 플랫폼의 글로벌 야망

3상호관세, '이곳'만 면제 혜택?…트럼프에 거액 약속도

4“식후 커피는 디카페인으로”...스타벅스, 1+1 행사 진행

5티아라 효민, 품절녀 대열 합류…♥남편 정체는

6인천공항 제2터미널서 ‘실탄 4발’ 발견...경찰 수사 착수

7보아, 술 마시며 방송하다 스킨십…상대 남성 정체는

8선관위 등 공공영역 채용 비리, 해답은 국가채용원이다

9소프트 AI 시대, 투자 접근은 어떻게 해야 할까

실시간 뉴스

1홍준표 “25번째 이사, 마지막 꿈 위해 상경”

2화해, 전 세계 피부에 닿는다…K-뷰티 플랫폼의 글로벌 야망

3상호관세, '이곳'만 면제 혜택?…트럼프에 거액 약속도

4“식후 커피는 디카페인으로”...스타벅스, 1+1 행사 진행

5티아라 효민, 품절녀 대열 합류…♥남편 정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