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제강, 극저온 철근 상업화
극저온 건설 부자재 수요 공략

극저온 철근은 극저온(-170℃) 환경을 견딜 수 있는 철근을 말한다. 동국제강은 극저온 철근 명칭을 정해 브랜드로 만들었다. 극저온 환경에서도 유연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 극저온 철근은 동국제강 중앙기술연구소가 2021년부터 3년간 연구해 개발한 제품이다.
일반적인 철근은 극저온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면 경도가 올라 절단이나 파손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동국제강의 극저온 철근은 성분 조절 신규 합금 개발 및 적용으로 극저온 환경에서도 유연성을 가질 수 있게 만들어 파손 가능성을 낮췄다.
또한 건축 구조물 구성을 위해 접합이 필수적인 철근 제품 특성상, 극저온 환경에서 접합 부위가 취약할 수 있음을 고려해 체결 방식을 차별화했다.
극저온 철근은 극저온 내성 건축 자재 활용이 필수적인 액화천연가스(LNG) 저장 시설에 주로 쓰인다. 동국제강은 LNG와 재생에너지 사용 비중 확대 추세에 따라 극저온 건축 자재 사용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
동국제강의 극저온 철근은 룩셈부르크 극저온 인장 시험 기관(LIST)의 극저온 인장 시험에 합격한 제품이다.
동국제강은 2021년 국내 최초로 극저온 철근 인장 시스템을 확보한 회사다. LIST와 유사한 검사를 자체 수행할 수 있어 품질 관리 능력이 우수하며, 고객사 시험 요구에도 적극 대응할 수 있다.
동국제강 극저온 철근은 인천공장에서 생산되고 있다. 동국제강의 인천공장은 고객사 맞춤 생산이 가능한 거점이란 평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박정희 모가지 따러' 김신조, 역사 뒤안길로…향년 83세
2허윤홍 GS건설 대표 “AI는 피할 수 없는 물결, 생존의 문제와 직결”
3337조원 썼지만 부족하다…한국 복지지출, OECD 평균의 69%
4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5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6“4월이 분수령”…3월 가계대출 4000억원 증가에 그쳐
7뷰노, 김택수 최고전략책임자 영입…삼성종기원 출신
8SK에코플랜트, 반도체 기술 가진 스타트업 찾는다
9EV·픽업·자율주행…기아, 다각화 전략으로 미래차 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