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사과의 공습’, ‘실적 악화’…카드사, 일 년 내내 진땀 뺐네

[2023 금융결산-카드]③
현대카드, 애플페이로 점유율 3위 등극…신한·국민도 도입 가닥
고금리에 조달비용·대손비용 늘어 순이익 ↓…상생금융도 숙제

애플의 근거리무선통신(NFC) 결제 서비스 애플페이 서비스 개시일인 지난 3월 21일 서울 용산구 현대카드 라이브러리 건물에 애플페이 광고물이 붙어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올해 결제 시장은 해외 간편결제 서비스 애플페이가 신규 플레이어로 진입하면서 카드사들을 ‘패닉’에 빠지게 했다. 실제 애플페이를 도입한 현대카드는 호실적을 보였지만, 나머지 카드사는 지난해보다 순이익이 대폭 감소하는 등 실적이 악화됐다. 여기에 금융당국이 은행과 보험사에 이어 카드업계에도 상생금융 압박을 가할 것으로 예상돼 내년에도 카드사들의 표정은 어두울 전망이다.

약진한 현대카드…다른 회사도 애플페이 도입 ‘솔솔’

올해 카드업계의 가장 큰 화제는 단연 애플페이의 국내 상륙이었다. 지난 3월 21일 국내서 첫선을 보인 애플페이는 아이폰을 비롯한 애플 기기 사용 비중이 높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인기를 모았다.

실제 애플페이 출시 이후 한 달 동안 신규 발급된 현대카드는 약 35만5000장으로 전년 동기 13만8000장 대비 약 2.6배나 증가했다. 이 신규 회원 가운데 MZ세대(20~30대)의 비중이 79%로 압도적이었다. 20대 51%, 30대 28%였으며 40대도 12%의 이용률을 기록해 만만찮은 수치를 나타냈다.

회원 수도 KB국민카드를 제치고 3위에 등극해 현대카드는 애플페이 효과를 톡톡히 누렸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올해 5월 말 현대카드 전체 개인 회원 수는 1173만4000명이었는데, KB국민카드가 1172만6000명을 기록하며 기존 3위에서 4위로 떨어졌다.

서울 용산구 현대카드 라이브러리 건물에 부착된 애플페이 홍보물. [사진 연합뉴스]
하반기부터는 다른 카드사들도 애플페이 도입을 검토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현재 신한카드, KB국민카드, BC카드 등 세 곳은 애플로부터 애플페이 계약조건을 전달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카드사들은 애플의 요청 일정에 따라 애플페이 인프라 계획 초안을 만들어 제안하고 이를 토대로 수수료 협상에 나설 계획이다.

이들 카드사가 애플페이로 새로 합류하게 되면 근거리무선통신(NFC) 결제 시스템 확대가 기대된다. 신한카드와 KB국민카드의 국내 시장 점유율이 도합 40%에 달하기 때문이다.  

오픈페이·EMV QR, 카드사 자체 연맹으로 핀테크 견제

애플페이를 비롯한 핀테크사들의 결제시장 침투와 관련해 카드업계는 자체적으로 연합전선을 구축하는 모양새다.

롯데·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KB국민·NH농협카드 등 8개 전업카드사는 나이스정보통신·한국정보통신·KIS정보통신·카카오페이와 올해 5월 24일 ‘모바일 결제 공통규격 추진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 협약은 QR결제 공통규격을 국제규격인 ‘EMV(유로페이·마스터카드·비자) QR’로 정하는 게 골자다. 참여사들은 국내 소비자들의 결제수단 선택 폭 확대와 해외 간편결제사들의 국내 가맹점 참여를 기대하고 있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카드사들은 2022년 말, 앱카드 상호연동 서비스(오픈페이)라는 신규 서비스를 선보이기도 했다. 오픈페이는 고객이 1개의 카드사 결제 앱(플랫폼)으로 카드사 구분 없이 모든 카드를 간편하게 등록·사용·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다. 오픈뱅킹의 카드사 버전인 셈이다.

신한·KB국민·하나카드 3개사를 시작으로 출범했으며, 2023년 12월 현재 롯데·BC·NH농협카드가 더해져 총 6개사가 참여하고 있다. 다만 애플페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현대카드와 삼성페이와 긴밀한 삼성카드가 참여할 가능성은 작다고 보고 있다.

고금리에 연체율까지 ‘애먹었다’…순이익 12% 감소

수년간 실적 호조를 보이던 카드사들의 실적 악화도 주목되는 한 해였다. 세계적인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조달비용이 증가하고 연체율 관리 비용까지 부담이 됐기 때문이다.

올해 3분기 8개 전업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BC·우리·하나카드)의 누적 당기순이익은 2조781억원으로 전년 동기(2조3530억원) 대비 11.7% 감소했다.

BC카드가 696억원을 거두며 전년 동기 대비 가장 많이 감소(-48.2%)했고, 우리카드가 34.1% 줄어든 1181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업계 1위인 신한카드도 3분기 누적 순이익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2% 줄어든 4691억원을 기록했다.

현대카드만 누적 순이익 2257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보다 8.6% 늘어났다. 상반기 애플페이 도입으로 결제액이 증가했고, 지난해부터 선제적 리스크 관리를 위해 신용대출상품 취급을 줄인 영향으로 풀이된다.

오태록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매출부문에서는 고금리에 따른 조달·대손비용 증가와 가맹점수수료 체계 지속 가운데 수익성 확대 여력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건전성을 고려할 때 자산규모의 외형적 확대보다는 선별적 공급과 고객 관리 등 질적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카드사에 밀려오는 ‘상생금융 시즌2’ 압박

올해는 금융당국이 금융권에 상생금융 압박이 강한 해이기도 했다. 중저신용자의 여신이 많은 카드사 또한 예외일 수는 없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문동권 신한카드 사장이 지난 7월 17일 오전 서울 중구 신한카드 본사에서 열린 신한카드 '소상공인 함께, 성장 솔루션' 론칭 행사에 참석,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올해 상반기 카드사들은 우리카드 2200억원, 현대카드 6000억원, 신한카드 4000억원, 하나카드 3000억원 등 약 2조3000억원 규모의 상생금융 자금을 지원했다.

문제는 내년도 실적도 어두울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카드사들이 두 번째 상생금융을 준비해야 할 것으로 관측된다는 점이다. 이달 6일 김주현 금융위원장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의 은행·보험사 최고경영자(CEO) 간담회 이후 새로운 상생금융안이 추가된 만큼 다음 타자는 카드사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은행이나 보험업계와 다르게 카드사는 실적 악화가 지표상으로 드러나는 가운데 상생금융을 추가적으로 시행하기는 부담이 되는 것이 사실”이라며 “당국도 수익성 개선이라는 당면한 과제부터 해결하는 게 급선무임을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미국투자이민∙영주권 릴레이 설명회 열린다∙∙∙국민이주, 서울∙ 대구∙싱가포르까지

2 AI 경쟁이 불러온 훈풍…가전·스마트폰, 신제품 효과 뚜렷

3의료기기 기업 바즈바이오메딕, 100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4YG플러스, 1Q 20억원 적자…“자회사 평가손실 탓”

5신한-포스코, 그린 수소 생산 기술에 2000만 달러 공동투자

6DL이앤씨, 서영재 대표 선임 “신사업‧혁신 속도”

7현대엔지니어링, 무안 힐스테이트 아파트 품질 하자 문제 사과…"최고수준 품질확보 노력"

8“초일불산입은 첫째 날 제외”…KB금융, ‘고객언어 가이드’ 발간

9"어쨌든 서울, 그래도 아파트"…경매 물건 쏟아져도 매매·전세가격 뛴다

실시간 뉴스

1미국투자이민∙영주권 릴레이 설명회 열린다∙∙∙국민이주, 서울∙ 대구∙싱가포르까지

2 AI 경쟁이 불러온 훈풍…가전·스마트폰, 신제품 효과 뚜렷

3의료기기 기업 바즈바이오메딕, 100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4YG플러스, 1Q 20억원 적자…“자회사 평가손실 탓”

5신한-포스코, 그린 수소 생산 기술에 2000만 달러 공동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