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건설 채권은행 “자구계획 안지키면 정상화 작업 중단”
5일 담당 부행장 모여 채권단 회의 개최
인더 매각금 중 미이행분 890억원 즉시지원

5일 태영건설 주채권은행 산업은행은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추진과 관련해 주요 은행의 부행장 회의를 개최했다. 참석은행은 KB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기업 등이다. 이 자리에서 각 은행의 태영건설 담당 부행장들은 태영건설 부실 관련 계열주 책임, 자구계획의 내용과 이행 상황, 향후 워크아웃 추진 방향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했다.
채권은행은 태영건설의 부실이 과도한 레버리지를 사용해 무리하게 사업을 확장한 데에서 비롯된 것임을 재확인했다. 또한 태영건설이 워크아웃 절차를 통해 정상화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계열주와 태영그룹의 뼈를 깎는 자구노력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뜻을 전했다.
채권은행은 계열주와 태영그룹이 워크아웃 신청 시에 제출한 자구계획을 이행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또 태영건설의 협력업체, 수분양자, 여타 채권자의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계열주의 경영권 유지를 위해 티와이홀딩스의 연대보증 채무 해소를 최우선시했다고 주장했다.
산은은 “채권은행은 기업구조조정 과정에서 확립된 원칙과 기준을 왜곡하는 행태를 보이며, 이에 따라 워크아웃 개시에 대한 채권자의 동의를 구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한 것에 대하여 큰 실망과 우려를 표했다”고 전했다.
채권은행은 태영그룹이 워크아웃 신청 시 확약한 태영인더스트리 매각대금 중 미이행분 890억원을 즉시 지원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에코비트 매각 및 매각대금 지원 ▲블루원 담보제공 및 매각 ▲평택싸이로(62.5%) 담보제공 등 나머지 3가지 자구계획을 확약하고 이사회 결의 등을 통해 즉각적으로 실행해 나갈 것을 요구했다.
산은은 “계열주가 금융채권자를 포함하여 수많은 이해관계자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태영건설은 물론 태영그룹이 정상화될 수 있는 첫 출발이라고 판단한다”며 “계열주는 기존에 제시한 자구계획을 즉시 이행하고 태영건설 정상화를 위해 계열주와 태영그룹이 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방안을 진정성 있게 제시할 것을 다시 한번 강력하게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산은은 “이와 같은 기본 전제조건조차 충족되지 못한다면 제1차 협의회 결의일인 오는 11일까지 75%의 찬성을 확보하지 못할 것이며 워크아웃을 개시할 수 없다”고 했다. 이어 “이 경우 태영건설의 부실은 현재화돼 정상화 작업은 중단될 수밖에 없고 초래되는 모든 경제적 피해와 사회적 신뢰 붕괴는 계열주와 태영그룹의 책임”이라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박정희 모가지 따러' 김신조, 역사 뒤안길로…향년 83세
2허윤홍 GS건설 대표 “AI는 피할 수 없는 물결, 생존의 문제와 직결”
3337조원 썼지만 부족하다…한국 복지지출, OECD 평균의 69%
4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5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6“4월이 분수령”…3월 가계대출 4000억원 증가에 그쳐
7뷰노, 김택수 최고전략책임자 영입…삼성종기원 출신
8SK에코플랜트, 반도체 기술 가진 스타트업 찾는다
9EV·픽업·자율주행…기아, 다각화 전략으로 미래차 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