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넘어 산’ 4대금융, 최대 실적 전망…밝지만 못한 이유는?
‘상생금융’ 압박에 2023년 실적, 컨센서스 하회 가능성
부동산 PF 대출 충당금·ELS 배상금…불확실성 산적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KB·신한·하나·우리 등 4대금융그룹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 다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순익 전망만 놓고 보면 문제가 없지만, 금융권 속내는 편치 않다. 상생금융을 압박하고 있는 당국 지적이 계속될 가능성이 높아서다. 상생금융 비용 처리 외에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에 따른 대손충당금 적립 등 악재도 많아 오히려 순익이 둔화할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올해도 ‘최대실적’ 전망…상생 빌미 될라
16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4대 금융의 2024년 연간 순익 합산은 16조8297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2023년 연간 순익 추정치(15조9594억원) 대비 5.5% 늘어난 규모다. 2023년 연간 순익 역시 2022년(15조7312억원)을 넘어선 역대 최대 규모인데, 올해도 최대 기록을 갈아치운다는 전망이다.
금융사별로 살펴보면 KB금융 순익은 2023년 4조9524억원에서 2024년 5조1892억원으로 4.8%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신한금융은 같은 기간 4조5488억원에서 4조7857억원으로 5.2% 증가, 하나금융은 3조6300억원에서 3조8257억원으로 5.4%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우리금융 역시 2조8282억원에서 3조291억원으로 7.1%의 순익 개선이 점쳐진다.
이같은 호실적 전망에도 금융사들은 마냥 웃을 수만은 없다. 호실적은 상생금융 압박의 빌미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윤석열 대통령의 ‘은행의 종노릇’ 지적 이후 상생금융 압박이 시작됐고, 야당의 ‘횡재세’ 논란까지 겹치면서 상생금융에 대한 압박 강도가 더해졌다.
이에 지난해 말 은행권은 2조원이 넘는 상생금융안을 내놨다. 해당 지원액은 지난해 3분기 누적 순이익의 10%에 달하는 규모다. 각 금융사는 올해 3월까지 소상공인 등에 이자 캐시백 지급을 완료하고 각 금융사가 별도로 선정한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도 나설 계획이다.
장밋빛 실적 전망을 경계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상생금융 비용 처리가 지난해 4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이어지며 금융사의 실적이 예상보다 낮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김도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은행주 대부분의 2023년 4분기 실적은 컨센서스를 하회할 전망”이라면서 “민생금융지원을 목적으로 이익 일부가 갹출되면서 비경상적인 비용이 대규모로 발생한 데 따른다”고 분석했다.
또한 조아해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은행들은 해당 (상생금융) 비용들을 지난해 4분기와 올해 1분기에 걸쳐 인식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은행권 상생금융 규모 총 2조원을 은행별 지난해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배분할 시 시중은행은 약 3000억원, 기업은행 약 2500억원, 지방은행은 약 500억원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꽃길’만 있을까…불확실성과 싸움 지속
올해 부동산PF 대출 부실 등 금융사 순익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들도 곳곳에서 발견된다.
특히 태영건설발 PF 부실에 따른 충당금 청구서를 금융사가 떠안게 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PF 부실이 본격화하면 PF 대출을 내준 은행, 증권사 등은 부실에 대비하기 위한 충당금 적립액을 늘려야 한다. 충당금을 늘리면 순이익 규모는 줄어든다.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의 불완전판매 의혹도 변수다. 금융감독원은 해당 상품을 판매한 국민·신한·하나 등 은행 및 일부 증권사 현장검사에 착수했다. 불완전판매 의혹이 사실로 확인되면 이들 금융사는 대규모 배상에 나서야 할 수도 있다.
설용진 SK증권 연구원은 “은행 실적에 영향이 발생할 만한 이슈로는 홍콩H지수 ELS가 존재한다”면서 “금소법 시행에 따른 형식적 요건 등을 감안했을 때 과거 사모펀드 사태 등과는 다소 결이 다르다”고 했다. 다만 “금융당국의 판단이 제시될 2024년 1분기까지는 배상 등 관련 불확실성이 지속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게다가 올해부터 금리 인하 기조가 본격화되면 금융사 실적엔 부담이다. 우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한국은행도 뒤따라 금리를 내릴 것이라는 전망이 강하다. 기준금리 인하는 은행의 호실적을 담당했던 순이자마진(NIM) 하락으로 이어져, 실적 둔화가 현실화될 수 있다.
은경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은행의 공적 역할을 강조하는 정부 및 금융당국 스탠스는 단기 실적 변동성을 높이고 있고, 부동산PF와 같은 이연된 리스크도 마주하기 시작했다”며 “여기에 스트레스완충자본 도입, 통화완화 정책으로의 선회 가능성 등 각종 정책 부담도 (금융주) 투자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