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부동산·건설업 부실 위험 고조…못 갚는 대출 2년새 3배↑

세종 부동산업 연체율 12%…울산·제주 등 지방 대출부실 위험 고조
2금융권 부동산업 연체율 3.29%…은행권의 11배

세종시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2021년 하반기 이후 2년 넘게 이어진 통화 긴축과 부동산 경기 부진의 여파로 대출을 갚지 못하는 건설·부동산 관련 기업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과 최근 2년 새 부동산·건설업종의 금융기관 대출 연체액과 연체율이 약 3배로 뛰었다. 특히 부동산 시장 위축 정도가 상대적으로 더 심각한 세종·울산 등 비수도권 지역 관련 기업의 대출 건전성이 제2금융권(비은행권)을 중심으로 빠르게 나빠지는 추세다.

29일 신용평가기관 나이스(NICE)평가정보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시도별 부동산·건설업 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모니터링 대상 약 58만개 법인 대출 가운데 부동산 업종 대출 잔액은 작년 12월 말 현재 385조38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부동산업 대출 통계에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이 포함된 것으로, 2021년 말(302조7300억원)과 비교해 2년 사이 27.3% 늘었다. 연체액(30일 이상 연체된 금액) 증가 속도는 더 빨라 같은 기간 2조2700억원에서 3배가 넘는 7조원까지 불었다. 

이에 따라 0.75%에 불과했던 전국 부동산업 연체율 역시 지난해 말 2.43배인 1.82%로 급등했다. 건설업 대출의 부실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작년 말 기준 건설 업종 대출 잔액은 118조3600억원으로, 2020년 말(88조5000억원)보다 34% 증가했다.

연체액은 7600억원에서 2.5배인 1조9000억원으로 증가했고, 연체율도 0.86%에서 1.9배인 1.60%로 치솟았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보다 비수도권의 부동산·건설 업종의 대출 부실 정도가 더 심했다. 이번 현황 조사에서 대출의 지역 분류는 대출 법인의 본사 사업장 소재지 기준으로 이뤄졌다.

작년 말 현재 비수도권 부동산업의 전체 금융기관 연체율(2.17%)은 수도권(1.56%)을 웃돌았다.

특히 세종(12.66%), 울산(6.49%), 강원(5.38%), 대구(4.35%), 전북(4.33%) 법인들의 부동산업 연체율이 두드러지게 높았다. 반대로 경남(0.64%), 대전(0.66%), 서울(0.94%) 등의 연체율이 하위 1∼3위를 차지했다.

비수도권 건설업의 연체율(1.99%)도 수도권(1.27%)보다 높았고 제주(3.70%), 대구(3.55%), 울산(3.35%), 경남(3.15%)은 3%를 넘어섰다. 

나이스평가정보 관계자는 “세종시처럼 수년 전 집값이 많이 올랐다가 최근 많이 떨어진 지역을 중심으로 관련 부동산중개업이나 시행사들의 부동산 대출 부실이 빠르게 드러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비수도권 지역 건설업 대출의 상당 부분이 토착건설사, 시공 능력이 떨어지는 영세 건설사들과 관련이 있다”며 “미분양 급증 등 지역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라 연체율이 급등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금융기관 업권별로는 은행권보다 2금융권에서 부실 위험 징후가 뚜렷했다. 부동산업의 2금융권 연체율은 지난해 12월 말 3.29%로, 은행권(0.30%)의 11배에 이르렀다. 건설업에서도 2금융권 연체율이 은행권(0.57%)의 4.2 배인 2.40%로 집계됐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中에 AI 칩 팔지마"…엔비디아에 이어 인텔도 못 판다

2클릭 한번에 기부 완료…동물구조 돕는 ‘좋아요’ 캠페인

3제니가 콕 집은 '바나나킥'...미국서 도넛으로 변신, 그 모습은?

4TSMC “인텔과 협의 없다”…기술 공유설 선 그어

5제주항공 참사, 美 소송 초읽기...‘보잉·FAA’ 전방위 압박

6맥도날드 넘어섰다...日 정복한 맘스터치

7메리츠증권, 아톤과 '양자내성암호 기반 인증시스템' 구축 협력

8"펫파크부터 특급호텔까지" 포항시, 코스타밸리 조성 박차

9울진미역, 제철 맞아 수확 한창... "거센 조류와 낮은 수온 이겨내 감칠맛이 일품"

실시간 뉴스

1"中에 AI 칩 팔지마"…엔비디아에 이어 인텔도 못 판다

2클릭 한번에 기부 완료…동물구조 돕는 ‘좋아요’ 캠페인

3제니가 콕 집은 '바나나킥'...미국서 도넛으로 변신, 그 모습은?

4TSMC “인텔과 협의 없다”…기술 공유설 선 그어

5제주항공 참사, 美 소송 초읽기...‘보잉·FAA’ 전방위 압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