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홍천서 올해 첫 진드기 SFTS 사망자 발생

86세 남성, 7일 확진 뒤 10일 사망…“야외 활동 시 진드기 주의”
야외 활동 후 고열‧복통 등 이상 증상 발생 시 의료기관 방문必

지난해 서울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 일대에서 서울 보건환경연구소 직원이 작은소참진드기를 채집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박관훈 기자] 바이러스를 가진 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사망자가 올해 처음 발생했다.

질병관리청은 강원도 홍천군의 86세 남성이 SFTS 확진 판정을 받은 지 사흘 만에 숨졌다고 밝혔다. 

이 남성은 증상 발생 4일 전 집 앞의 텃밭에서 농작업 및 임산물 채취 작업을 했다. 5월 1일 발열 등 증상으로 의료기관에 내원해 입원 후 치료를 받아왔으나 상태가 악화됐으며 지난 7일 SFTS 양성 확인 후, 10일에 사망했다.

SFTS는 농작업과 임산물 채취, 등산 등 야외활동 증가로 진드기 노출 기회가 많아지는 봄철부터 발생이 증가한다. 

특히 SFTS는 치명률이 높고, 예방 백신과 치료제가 없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SFTS는 국내 첫 환자가 보고된 2013년 이후 2023년까지 총 1895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그 중 355명이 사망해 18.7%의 치명률을 보였다.

SFTS는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다. 농작업 등 야외활동 시 긴 소매, 긴 바지 등을 갖춰 입고, 야외활동 후 2주 이내 고열(38도 이상), 식욕저하, 구역, 구토, 설사, 복통 등 소화기 증상이 있을 경우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받아야 한다. 두통, 근육통, 신경증상(의식장애, 경련, 혼수), 림프절 종창, 출혈이 동반될 수 있다.

질병청은 “농작업 등 야외활동 시 긴소매 옷과 긴 바지 등을 갖춰 입고 야외활동 후 2주 이내에 고열과 소화기계 증상이 있으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박정희 모가지 따러' 김신조, 역사 뒤안길로…향년 83세

2허윤홍 GS건설 대표 “AI는 피할 수 없는 물결, 생존의 문제와 직결”

3337조원 썼지만 부족하다…한국 복지지출, OECD 평균의 69%

4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5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6“4월이 분수령”…3월 가계대출 4000억원 증가에 그쳐

7뷰노, 김택수 최고전략책임자 영입…삼성종기원 출신

8SK에코플랜트, 반도체 기술 가진 스타트업 찾는다

9EV·픽업·자율주행…기아, 다각화 전략으로 미래차 선도

실시간 뉴스

1'박정희 모가지 따러' 김신조, 역사 뒤안길로…향년 83세

2허윤홍 GS건설 대표 “AI는 피할 수 없는 물결, 생존의 문제와 직결”

3337조원 썼지만 부족하다…한국 복지지출, OECD 평균의 69%

4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5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