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고령화·저출산 지속되면 "2045년 정부부채, GDP 규모 추월"

블룸버그인텔리전스 전망 "2045년 100%, 2050년 120%"
韓 GDP 대비 정부부채 비중 2021년 50% 돌파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용우 기자] 고령화 등 여파로 2045년이 지나면 한국의 정부 부채가 국내총생산(GDP)을 넘어서는 수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9일 블룸버그 산하 연구기관인 블룸버그인텔리전스(BI)에 따르면 권효성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재정 전망 보고서를 통해 현재 57% 수준인 GDP 대비 정부 부채 비율이 2030년에는 70%에 도달하고 2045년부터 100%에 이를 것으로 봤다. 2050년엔 120%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 부채는 국가 채무(국채·차입금·국고채무부담행위)뿐만 아니라 비영리 공공기관 부채도 포함한다. 

정부 부채가 GDP를 넘어서는 이유는 급속한 인구 고령화와 저출산이 만들어내는 결과로 풀이된다. 갈수록 노동력이 감소하면서 세수가 부족해진 반면 사회보장 및 의료서비스 비용은 증가하면서다.

실ㅈ로 국제통화기금(IMF)은 2019년 42.1%에 머물렀던 한국의 GDP 대비 정부 부채 비중이 코로나19를 거치면서 대응을 거치며 급증했고 2021년에 51.3%로 처음 50%를 넘었다고 추정한 바 있다. 이 수치는 지난해 55.2%에 이어 올해 56.6%로 늘어나고, 2029년이면 59.4%에 이를 것이라는 게 IMF의 예상이다. 

현재까지는 한국의 GDP 대비 정부 부채 비율이 다른 선진국 보다 낮지만 급속한 고령화로 곧 추월할 것으로도 예상된다. 지난해 한국의 GDP 대비 정부 부채 비율은 일본(252.4%)·미국(122.1%)·독일(64.3%) 등 주요 7개국(G7)에 비해 낮았다. 앞으로 고령화 등으로 늘어날 것으로 비춰진다.

보고서는 향후 GDP 대비 정부 부채 비율에 영향을 끼칠 최대 변수로 금리를 꼽았다. 금리가 기본 시나리오로 가정한 2%보다 1%포인트(p) 올라갈 경우 해당 수치가 2050년쯤 141%로 치솟을 수 있다고 예측했다.

금리가 1%인 경우 GDP 대비 정부 부채 비율은 101%, 0%인 경우는 83%를 기록할 가능성도 제시됐다. 

보고서는 지난해 정부의 재정지출 감소율이 10.5%에 이른다면서도, 감세와 세수 부진 등의 여파로 여전히 적자 상태에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지난 총선 결과 재정지출 확대를 주장하는 더불어민주당이 승리한 만큼 재정준칙 법안의 국회 통과 가능성이 크지 않을 것으로 봤고, 부채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서는 재정 개혁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다시 만난 ‘정의선·도요타 아키오’...日 WRC 현장서 대면

2 신원식 “트럼프, 尹대통령에 취임 전 만나자고 3~4차례 말해”

3‘서울의 아침’ 여는 자율주행버스...26일부터 운행

4‘제조업 자동화’ 가늠자 ‘로봇 밀도’...세계 1위는 韓

5영풍, 고려아연에 배당금만 1조1300억 수령

6KT, 1.6테라 백본망 실증 성공...“국내 통신사 최초”

7'윤여정 자매' 윤여순 前CEO...과거 외계인 취급에도 '리더십' 증명

8‘살 빼는 약’의 반전...5명 중 1명 “효과 없다”

9서울 ‘마지막 판자촌’에 솟은 망루...세운 6명은 연행

실시간 뉴스

1다시 만난 ‘정의선·도요타 아키오’...日 WRC 현장서 대면

2 신원식 “트럼프, 尹대통령에 취임 전 만나자고 3~4차례 말해”

3‘서울의 아침’ 여는 자율주행버스...26일부터 운행

4‘제조업 자동화’ 가늠자 ‘로봇 밀도’...세계 1위는 韓

5영풍, 고려아연에 배당금만 1조1300억 수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