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준비하는 KGM...연구개발비 20% 늘었다
1분기 약 400억원...전년 대비 20.4%↑
친환경·자율주행 등 신기술 개발 박차

23일 KGM에 따르면 회사의 올해 1분기(1~3월) 연구개발비 총계는 전년 동기(330억3200만원) 대비 20.4% 늘어난 397억7800만원으로 집계됐다.
KGM은 주력 모델인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토레스 등으로 벌어들인 돈을 기술력 확보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올해 1분기 연구개발비가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9%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3%)과 비교하면 0.9%포인트 늘어난 것이다.
연구개발비 상당 부분은 미래 모빌리티 시대 제조사의 핵심 경쟁력이 될 ‘친환경차’ 및 ‘자율주행’ 관련 기술 개발에 집중되는 것으로 보인다. KGM이 올해 1분기 보고서에 게재한 연구개발 실적(현황)은 ▲전기차용 고안전·고편의성 무선 충전 플랫폼 상용화 개발 및 실증 ▲레벨4(Lv.4) 자율주행 시스템 고장 재현 및 통합 안전 검증 기술 개발 ▲차세대 전기·전자 아키텍처 개발(네트워크 아키텍처 평가 기술 개발)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 선행 연구 등이다.

단순히 미래 기술 개발에만 몰두하는 것도 아니다. KGM은 자동차 제조사의 기본이 되는 품질 강화를 위한 설비 투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올해 1분기 노후 설비 개선 등 보완 투자에 투입된 돈은 135억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93억원)과 비교하면 42억원 늘었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 쌍용자동차 시절, KG그룹의 인수 소식이 전해졌을 때 시장에서 우려가 많았다. KG그룹의 자동차 산업에 대한 이해도 등 때문”이라면서 “단기간에 성공, 실패를 논하기는 어렵다. 다만 투자가 늘고 있다는 것은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KGM의 미래를 위한 투자는 당분간 계속된다. 회사는 올해 연말까지 기투자액 포함 총 612억원을 노후 설비 개선 등에 투입할 계획이다. KGM 관계자는 “전동화와 자율주행 등 시장의 흐름에 맞춰 인력 보강 및 투자 증대를 이어가고 있다”면서 “필요 인력 역시 확충해 나가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337조원 썼지만 부족하다…한국 복지지출, OECD 평균의 69%
2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3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4“4월이 분수령”…3월 가계대출 4000억원 증가에 그쳐
5뷰노, 김택수 최고전략책임자 영입…삼성종기원 출신
6SK에코플랜트, 반도체 기술 가진 스타트업 찾는다
7EV·픽업·자율주행…기아, 다각화 전략으로 미래차 선도
8하이브 방시혁, 3개월 만에 주식 5000억원 늘었다...총수 주식 살펴보니
9“놀이공원 반값에”…신한카드, 봄나들이 시즌 이벤트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