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집값 상승장 오나…강남·서초·용산 아파트, 전고점 98~99% 수준으로 회복

"고가 지역 먼저 올라…나머지도 키 맞추기"

서울 강남·서초구와 용산구 등 주요 지역의 아파트값 시세가 종전 최고가 수준으로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의 한 부동산중개업소 전월세 안내문.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서울 강남·서초구와 용산구 등 주요 지역의 아파트값 시세가 종전 최고가 수준으로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가도 전고점의 95%까지 도달했다.

26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서울 시내 아파트 116만 가구를 표본으로 가구당 평균 가격을 조사한 결과 지난 17일 기준 서울 강남구 아파트의 평균 가격은 25억8135만원으로 전고점인 2021년 26억949만원의 99% 수준까지 회복했다.

용산구는 18억6643만원으로 전고점(2022년, 18억8432만원)의 99%, 서초구는 27억7147만원으로 전고점(2022년, 28억3111만원)의 98% 수준까지 올라왔다. 송파구는 18억6473만원으로 전고점(2021년 20억225만원)의 93% 수준이었다.

아파트 평균 가격이 전고점의 90%까지 회복한 곳은 서울 시내 25개 자치구 중 19곳에 달한다. 종로구(9억135만원)가 전고점(2022년, 9억1546만원)의 98%까지 올라와 전고점과의 가격 차가 1400여 만원밖에 나지 않는다. 영등포구(12억9506만원)와 양천구(13억6276만원)도 각각 전고점의 97% 수준까지 회복했다.

이에 힘입어 서울 전체의 가구당 매매가는 12억9921만원으로 전고점(2021년, 13억7147만원)의 95%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가격 회복은 아파트 가격이 비싼 지역 위주로 더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중구(89%), 강동구(88%), 노원구(87%), 강북구(87%), 관악구(86%), 도봉구(85%) 등은 상대적으로 회복이 느리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전체적인 추세를 보면 고가 지역이 먼저 치고 나가고 나머지 지역이 갭을 메우며 따라간다”며 “지금 가격 회복이 더딘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등의 지역도 결국 키 맞추기 현상을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3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4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5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

6"부산, 식품은 다른 데서 사나?"...새벽배송 장바구니 살펴보니

7테무, 개인정보 방침 변경…“지역 상품 파트너 도입 위해 반영”

8알트베스트, 비트코인 재무준비자산으로 채택…아프리카 최초

9조정호 메리츠 회장 주식재산 12조원 돌파…삼성 이재용 넘본다

실시간 뉴스

1'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3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4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5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