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우리 아이도 비만?...아동 비만율 5년 새 3.5배 증가

수면시간 줄고, 앉아 있는 시간 늘어
우울·자살 등 정신건강 고위험군도↑

올해 5월 5일 어린이날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 어드벤처가 이용객으로 붐비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선모은 기자] 9세부터 17세까지 비만 아동의 비중이 5년 새 3.5배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자리에 앉아 있는 시간은 늘고, 수면시간은 줄어드는 등 신체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지 않아서다. 같은 나이의 아동 중 우울하거나 자살 생각을 하는 등 정신건강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비중도 늘었다. 스트레스와 우울감을 경험하거나, 자살을 생각한 아동이 늘어서다.

보건복지부(복지부)는 이런 내용이 담긴 '2023년 아동종합실태조사'를 6일 발표했다. 아동종합실태조사에 따르면 9세부터 17세까지 아동의 비만율은 14.3%로 나타났다. 이는 3.4%에 불과했던 2018년 같은 나이의 아동 비만율과 비교하면 3.5배 높다. 이번 조사에는 만 18세 미만 아동이 있는 가구 5753곳이 참여했다.

아동의 비만율이 늘어난 이유는 신체활동을 수행할 시간이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수면시간도 줄어들어 아동이 적정 체중을 유지하기 어려운 환경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나이의 아동은 같은 기간 주중 앉아 있는 시간이 524분에서 636분으로 21.4% 늘었다. 하지만 수면시간은 5년 전 8.29시간에서 지난해 7.93시간으로 줄었다. 아동이 휴식을 제대로 취할 여건이 나빠진 것이다.

아동의 정신건강도 악화했다. 스트레스가 대단히 많다고 답한 9세부터 17세까지 아동의 비율은 1.2%로 2018년 당시의 0.9%보다 높아졌다. 같은 나이의 아동 중 우울감을 경험한 비율은 4.9%, 자살을 생각한 비율은 2.0%였다. 아동이 스트레스를 받는 원인은 주로 숙제·시험(64.3%)과 성적(34%)이었다. 

보건복지부 현수엽 인구아동정책관은 "아동 분야에 대한 집중 투자로 아동의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고 발달, 가족, 친구 관계, 안전, 물질적 환경 등 전반적 지표가 개선되고 있다"면서도 "비만, 정신건강 고위험군 등 일부 악화한 지표도 있어, 아이들의 신체활동과 놀 권리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준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정책기본계획을 수립해 아동의 삶의 질을 높이겠다"고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박정희 모가지 따러' 김신조, 역사 뒤안길로…향년 83세

2허윤홍 GS건설 대표 “AI는 피할 수 없는 물결, 생존의 문제와 직결”

3337조원 썼지만 부족하다…한국 복지지출, OECD 평균의 69%

4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5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6“4월이 분수령”…3월 가계대출 4000억원 증가에 그쳐

7뷰노, 김택수 최고전략책임자 영입…삼성종기원 출신

8SK에코플랜트, 반도체 기술 가진 스타트업 찾는다

9EV·픽업·자율주행…기아, 다각화 전략으로 미래차 선도

실시간 뉴스

1'박정희 모가지 따러' 김신조, 역사 뒤안길로…향년 83세

2허윤홍 GS건설 대표 “AI는 피할 수 없는 물결, 생존의 문제와 직결”

3337조원 썼지만 부족하다…한국 복지지출, OECD 평균의 69%

4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5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