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덜 벌어도 쓴다"...소비격차 4년 새 2.5배→2.1배 줄어

최상위 가계 소비 줄고, 최하위는 늘어
국민지원금 등 복지 확대 덕으로 풀이

서울 종로구 광화문네거리에서 직장인들이 출근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선모은 기자] 가계의 소득 분위별 소비 격차가 줄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소득이 낮은 가계의 소비는 늘었지만, 소득이 높은 가계의 소비가 줄어서다.

한국은행의 '가계분배계정' 통계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소득 최상위 계층인 5분위의 전체 가계소비 대비 소비 점유율은 29.5%를 기록했다. 이는 소득 최하위 계층인 1분위(13.8%)의 2.1배다.

코로나19가 유행하기 이전인 2018년에는 이 차이가 2.5배였다. 당시 5분위의 소비 점유율은 31.5%, 1분위의 소비 점유율은 12.5%였다. 4년 새 소비 격차가 줄어든 셈이다.

소비 격차가 줄어든 이유는 소득이 높은 가계의 소비가 줄어서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2020년부터 5분위 가계의 비필수재에 대한 소비가 상대적으로 많이 감소했다"면서도 "감염병 종식 이후 비필수재 소비가 늘 수 있어, 추세 해석에 유의해야 한다"고 했다.

구체적으로는 1분위 가계의 의류·신발 소비가 2018년 6조2098억원에서 2022년 7조1289억원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5분위 가계의 소비는 20조2871억원에서 18조9001억원으로 줄었다.

여가비 등을 포함하는 오락·스포츠·문화 소비는 1분위 가계가 4년 만에 7조3056억원에서 9조496억원으로 늘었다. 5분위 가계는 37조8214억원에서 35조5272억원으로 소비가 줄었다.

국민지원금을 비롯한 복지 확대가 가계의 소비 격차를 줄이는 데 역할을 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소득이 낮은 가계가 복지 확대를 통해 의류나 신발, 오락, 스포츠, 문화 등에 비용을 지출할 수 있도록 한 점이 소비 격차를 줄였다는 뜻이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총본원소득(GNI)과 총처분가능소득(GNDI)의 가계 소득 분위별 소득 점유율 변화를 살피니, 이전 소득은 가계 소득 분위의 소득 격차를 줄였다"며 "1~2분위 가계는 정부로부터 기초연금 등 사회수혜금을 받아 총처분가능소득 점유율이 상승했고, 5분위 가계는 소득세 등 경상세 납부 등으로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1분위 가계의 소득 점유율은 5.5%, 5.6%, 6.8%로 늘어나는 추세다. 같은 기간 5분위 가계의 소득 점유율은 45.0%, 45.1%, 42.8%로 오르내렸다.

한편, 한국은행이 가계의 소득 분위별 소득·소비·저축 통계인 가계분배계정을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은행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지침(가이드라인)에 따라 매해 6월 이를 공개할 계획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불붙은 상법 개정...밸류업 핵심 과제, 증시 발전에 긍정적”

2포켓몬 고, ‘에스파’ 서울 콘서트에 홍보 부스 마련한다

3티웨이항공, 이지드랍 서비스 참여…홍대입구역·인천 거점

4 ‘얼차려 훈련병 사망’ 중대장 등 2명 구속

5SK이노베이션, ‘2023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ESG 활동 고도화

6신한투자증권, 1200억원 규모 해외 인수금융 주관·셀다운 성료

7신한은행, 강북구와 ‘땡겨요’ 업무협약 체결

8정은보 이사장, ‘밸류업 프로그램’ 글로벌 프로모션 위해 홍콩․싱가포르 출국

9KT, 40만원대 스마트폰 ‘갤럭시 A35 5G’ 공식 출시

실시간 뉴스

1“불붙은 상법 개정...밸류업 핵심 과제, 증시 발전에 긍정적”

2포켓몬 고, ‘에스파’ 서울 콘서트에 홍보 부스 마련한다

3티웨이항공, 이지드랍 서비스 참여…홍대입구역·인천 거점

4 ‘얼차려 훈련병 사망’ 중대장 등 2명 구속

5SK이노베이션, ‘2023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ESG 활동 고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