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의협, 20일 집단휴진 가능성..."전국의사 함께 행동" 강경투쟁

9일 휴업 찬반 투표 결과 발표
의대 교수 "집단행동 따를 것"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선모은 기자]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이달 20일 집단휴진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됐다. 의협은 휴업 찬반을 묻는 투표 결과를 9일 발표할 예정이지만, 이미 강경 투쟁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8일 의료계 등에 따르면 의협은 오는 20일을 집단휴진 시작일로 염두에 둔 것으로 알려졌다. 목요일인 20일은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서울의대 비대위)가 집단휴진일로 잡은 17일(월)과 같은 주다.

의협은 전날 보도자료를 통해 서울의대 비대위의 집단 휴진 결의를 환영하며 "전국 의사들이 함께 행동할 것"이라고 밝혔다. 의협은 지난 4일 오후 5시부터 전날 자정까지 휴진 찬반 투표를 진행했고, 투표 인원 12만9200명 중 7만800명이 참여했다. 투표율은 54.8%였다.

의협은 오는 9일 의협회관에서 의대 교수, 봉직의, 개원의 등이 참여하는 전국의사대표자대회 전까지 투표 결과를 공표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했다. 하지만 일찌감치 집단행동 개시를 시사하는 발언을 하고 있어 가결됐을 가능성이 크다. 의협은 2014년과 2020년 집단행동 당시보다 투표율이 높다며 "의료농단 저지에 대한 의지"라고 강조했다.

한편, 서울의대 교수에 이어 의협도 파업에 돌입하면 전공의 이탈 이후 악화하고 있는 의료 현장의 혼란이 심화할 것으로 우려된다. 의협은 개원의 중심의 단체이지만, 이번 집단행동에는 의대 교수 단체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분위기라서다. 전국 20개 의대 소속 교수가 모인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는 전날 의협의 투표 결과에 따르겠다는 뜻을 밝혔다.

의협이 집단휴진에 돌입해도 동네병원이 문을 닫진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2020년 집단행동 당시 개원의의 참여율은 저조했다. 최근 여론이 우호적이지 않다는 것도 부담이다. 의대교수도 마찬가지다. 이들은 의료공백 사태 동안 여러 차례 사직서를 제출했지만, 실제 병원과 대학을 떠나지 않았다. 휴진 계획을 밝히고도, 환자 곁을 지킨 경우가 대다수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킹산직’ 500명 추가 채용 제안...노조 달래는 현대차

2서울대병원 무기한 휴진 중단...“투쟁 방식 전환”

33분기 전기요금 인하 없다...연료비조정단가 현행 유지

4제2의 도약 꿈꾸는 아워홈...기업공개 추진한다

5최태원 SK 회장, 내일 미국행...AI·반도체 점검

6손정의 “인간보다 1만배 똑똑한 AI 시대 온다”

7이노그리드, 초유의 ‘상장 승인 취소’…“파두 사태와는 또 다르다”

8연타석 홈런 친 넷마블…하반기에도 신작 러시

9Life’s Good!…LG전자 브랜드 가치, 세계에 ‘미소’ 전파

실시간 뉴스

1‘킹산직’ 500명 추가 채용 제안...노조 달래는 현대차

2서울대병원 무기한 휴진 중단...“투쟁 방식 전환”

33분기 전기요금 인하 없다...연료비조정단가 현행 유지

4제2의 도약 꿈꾸는 아워홈...기업공개 추진한다

5최태원 SK 회장, 내일 미국행...AI·반도체 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