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서울 아파트 1채, 지방 아파트 3채보다 더 비싸

서울-지방 아파트 매매격차 4년 째 9억원 이상 벌어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최근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상승하면서 지방 아파트와의 가격차가 다시 벌어지고 있다. 4년째 양 지역의 아파트가 9억원대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부동산R114가 전국 아파트를 표본으로 가구당 평균 가격(호가, 시세, 지역별 평균 등을 반영해 산정)을 조사한 결과, 지난 14일 기준 서울 아파트의 평균가는 12억9967만원이었다. 

이는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전체 아파트 평균가(3억5460만원)보다 9억4507만원 높다. 

서울과 지방의 아파트 가격차는 10년 전인 2014년만 해도 3억1109만원(서울 5억3779만원, 지방 2억2670만원)이었다. 2017년 4억4759만원으로 4억원을 넘더니 2018년 6억2270만원, 2019년 7억983만원, 2020년 8억5184만원으로 격차가 확대됐다. 

이어 2021년에는 9억8845만원까지 벌어졌다가 2022년 9억5283만원, 2023년 9억3183만원으로 차이가 다소 줄었다. 그러나 올해 들어 서울 집값이 상승하면서 다시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서울 아파트 평균가는 2010∼2015년 5억원대였으나, 올해는 13억원에 육박하면서 2015년 대비 125.5% 뛰었다. 반면 같은 기간 지방 아파트 평균가는 2억4656만원에서 3억5610만으로 43.8% 올랐다. 

2015년에는 지방 아파트 2채 살 돈으로 서울 아파트 1채를 살 수 있었다면 현재는 3채 이상 살 돈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서울과 지방의 양극화는 더욱 심화할 전망이다. 서울과 지방 간 아파트값 온도차가 여전해서다. 한국부동산원 통계를 보면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 3월 넷째 주 상승 전환한 뒤 최근까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지방은 여전히 마이너스(-)를 기록 중이다. 6월 셋째 주 서울 매매가는 전주 대비 0.15% 오르며 2년 7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지방에서 세종을 제외하면 서울과의 가격차는 이보다도 더 클 것”이라며 “금융위기급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서울과 지방의 격차가 좁혀지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외산 무덤’ 韓서 승승장구…로보락 ‘S8 맥스V 울트라’ 흥행

2국산 샴페인의 돌풍…인터리커 ‘골든블랑’

3글로벌 해상운임 3400선 돌파…‘석화·철강·중기’ 직격탄

4“사진과 많이 다르네”...부활한 롯데리아 오징어 버거

5삼성전자, 갤럭시 S24 시리즈로 ‘AI 스마트폰’ 시대 활짝

6LG전자 AI 에어컨 ‘풀 라인업’ 중 대표…‘휘센 뷰’ 판매량 급증

73초에 1개씩 팔렸다…라네즈 ‘립 슬리핑 마스크 EX’

8‘뉴진스만큼 핫하다’…신한카드, 해외여행 필수템 ‘쏠트래블 체크카드’

9조용한 돌풍 일으킨 투자 앱...NH투자증권 ‘나무증권’

실시간 뉴스

1‘외산 무덤’ 韓서 승승장구…로보락 ‘S8 맥스V 울트라’ 흥행

2국산 샴페인의 돌풍…인터리커 ‘골든블랑’

3글로벌 해상운임 3400선 돌파…‘석화·철강·중기’ 직격탄

4“사진과 많이 다르네”...부활한 롯데리아 오징어 버거

5삼성전자, 갤럭시 S24 시리즈로 ‘AI 스마트폰’ 시대 활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