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에 묶인 기준금리…한은 ‘관망세’ 유지
가계대출 불안‧美 연준 금리인하 불투명
“물가상승률 목표수준으로 수렴해 갈 것”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12차례 연속 3.50%로 동결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목표 수준인 2%에 가까워졌지만 여전히 불안 요소가 남아있고,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연내 금리 인하가 불투명하자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관망세’가 유지되고 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11일 서울 중구 본관에서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연 3.50%로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지난해 2월부터 12차례 연속 동결 결정이다.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동결에 대해 “물가상승률 둔화 추세의 지속 여부를 좀 더 확인할 필요가 있고 외환시장 변동성과 가계부채 증가세가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면서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하면서 대내외 정책 여건을 점검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보았다”고 말했다.
한은은 추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대 초반으로 완만히 낮아질 것이며, 연간 상승률은 지난 5월 전망치(2.6%)를 소폭 하회할 가능성이 있다고도 전망했다. 실제로 전년 동월 대비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4%로, 1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한국은행은 “앞으로도 국내 물가상승률은 완만한 소비 회복세, 지난해 급등한 국제유가·농산물가격의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둔화 추세를 이어갈 것”이라며 “향후 물가경로는 국제유가 및 환율 움직임, 농산물가격 추이, 공공요금 조정 등에 영향받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미국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조차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고 있다. 이 또한 금통위의 동결 결정에 힘을 실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9일(현지시각) 의회에 제출한 통화정책 보고서에서 “물가 하락세가 지속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지표가 더 나와야 금리 인하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5.25∼5.50%로, 금리 차이는 2.0%포인트(p)로 역대 최대 수준이다.
한국은행은 “세계경제는 완만한 성장세와 인플레이션 둔화 추세가 이어졌다”면서 “앞으로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은 주요국의 인플레이션 둔화 흐름 및 통화정책 운용의 차별화 정도, 중동지역 리스크의 전개상황, 주요국의 정치 상황 등에 영향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은 가계대출 증가세와 잔존해 있는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과 관련 리스크 또한 우려했다. 이에 금통위는 앞으로 성장세를 점검하면서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해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계획이다.
한국은행은 “국내경제는 성장세가 완만히 개선되는 가운데 물가상승률이 둔화 흐름을 이어가면서 목표수준으로 점차 수렴해 갈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물가 경로의 불확실성이 있는 만큼 물가상승률 둔화 추세의 지속 여부를 좀 더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어 “외환시장·수도권 주택가격·가계부채 등이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도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향후 통화정책은 긴축 기조를 충분히 유지하는 가운데 물가상승률 둔화 추세와 함께 성장, 금융안정 등 정책 변수들 간의 상충관계를 면밀히 점검하면서 기준금리 인하 시기 등을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11일 서울 중구 본관에서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연 3.50%로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지난해 2월부터 12차례 연속 동결 결정이다.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동결에 대해 “물가상승률 둔화 추세의 지속 여부를 좀 더 확인할 필요가 있고 외환시장 변동성과 가계부채 증가세가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면서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하면서 대내외 정책 여건을 점검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보았다”고 말했다.
한은은 추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대 초반으로 완만히 낮아질 것이며, 연간 상승률은 지난 5월 전망치(2.6%)를 소폭 하회할 가능성이 있다고도 전망했다. 실제로 전년 동월 대비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4%로, 1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한국은행은 “앞으로도 국내 물가상승률은 완만한 소비 회복세, 지난해 급등한 국제유가·농산물가격의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둔화 추세를 이어갈 것”이라며 “향후 물가경로는 국제유가 및 환율 움직임, 농산물가격 추이, 공공요금 조정 등에 영향받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미국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조차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고 있다. 이 또한 금통위의 동결 결정에 힘을 실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9일(현지시각) 의회에 제출한 통화정책 보고서에서 “물가 하락세가 지속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지표가 더 나와야 금리 인하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5.25∼5.50%로, 금리 차이는 2.0%포인트(p)로 역대 최대 수준이다.
한국은행은 “세계경제는 완만한 성장세와 인플레이션 둔화 추세가 이어졌다”면서 “앞으로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은 주요국의 인플레이션 둔화 흐름 및 통화정책 운용의 차별화 정도, 중동지역 리스크의 전개상황, 주요국의 정치 상황 등에 영향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은 가계대출 증가세와 잔존해 있는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과 관련 리스크 또한 우려했다. 이에 금통위는 앞으로 성장세를 점검하면서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해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계획이다.
한국은행은 “국내경제는 성장세가 완만히 개선되는 가운데 물가상승률이 둔화 흐름을 이어가면서 목표수준으로 점차 수렴해 갈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물가 경로의 불확실성이 있는 만큼 물가상승률 둔화 추세의 지속 여부를 좀 더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어 “외환시장·수도권 주택가격·가계부채 등이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도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향후 통화정책은 긴축 기조를 충분히 유지하는 가운데 물가상승률 둔화 추세와 함께 성장, 금융안정 등 정책 변수들 간의 상충관계를 면밀히 점검하면서 기준금리 인하 시기 등을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좀비버스, 영화야 예능이야?"...K-좀비 예능2, 또 세계 주목받을까
2킨텍스 게임 행사장 ‘폭탄테러’ 예고에...관람객 대피소동
3美항모 조지워싱턴함 日 재배치...한반도·中 경계
4공항철도, 시속 150km 전동차 도입...오는 2025년 영업 운행
5두산 사업구조 재편안, 금융당국 승인...주총 표결은 내달 12일
6‘EV9’ 매력 모두 품은 ‘EV9 GT’...기아, 美서 최초 공개
7민희진, 빌리프랩 대표 등 무더기 고소...50억원 손배소도 제기
8中, ‘무비자 입국 기간’ 늘린다...韓 등 15일→30일 확대
9빙그레, 내년 5월 인적분할...지주사 체제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