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투자증권 “10년 내 자기자본 5兆 목표...초대형 IB로 도약”
남기천 “2조 규모 그룹 계열사 공동펀드로 IB 경쟁력 강화”
2028년 운용자산 15조…2026년 고액 자산가 43조 유치 목표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우리투자증권이 2조원 규모 그룹 계열사 공동펀드를 활용해 투자은행(IB) 영업에 집중, 빠른 시일 내에 ‘초대형 IB’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놓았다. ‘5년차 연간 자기자본이익률(ROE) 10%, 10년 내 자기자본 5조원 달성’이라는 구체적인 성장 로드맵도 제시했다.
남기천 우리투자증권 대표는 5일 서울 영등포구 TP타워에서 개최한 창사 첫 기자간담회에서 비전과 중장기 전략 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 양완규 IB부문 부사장, 박기웅 세일즈앤드트레이딩(S&T)부문 부사장, 심기우 리테일부문 부사장이 각 사업 부문별 전략을 소개했다. 우리투자증권은 지난 1일 공식 출범했다.
남 대표는 합병 원년의 첫 번째 목표로 ‘종합증권사로서 성공적 출범과 사업 기초체력 확보’를 제시했다. 기존 포스증권의 리테일 펀드 판매와 우리종금의 IB업무를 지속 확장하는 한편, 라이선스 확보를 통해 주식중개영업을 개시하는 등 하반기에는 증권사 본연의 영업으로 빠르게 전환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핵심사업(IB·S&T) 강화 ▲디지털·IT 경쟁력 제고 ▲그룹 시너지 영역 확대 ▲증권·종금 통합체계 구축 등 세부 추진 계획을 수립했다고 말했다.
특히 그룹 차원에서 ‘기업금융 명가 재건’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만큼 우리은행, 우리벤처파트너스 등 그룹사와 협력해 스타트업부터 중소·중견기업, 대기업에 이르는 기업생애주기별 토탈금융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계열사 2조원 공동펀드 조성…회사채·우량PF 등 IB 집중
은행·증권 간 시너지협의회 운영과 함께 2조원 규모의 계열사 공동펀드를 조성하고, 올 연말 출시 예정인 은행 ‘뉴 원(New WON) 뱅킹’과 증권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을 연결하는 슈퍼앱을 추진하고 있다.
최대 2조원 규모의 계열사 공동펀드를 조성해 우량 프로젝트파이낸싱(PF)에 투자하는 등 그룹 차원의 시너지 창출과 IB 부문 경쟁력 기반도 강화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회사채 주관 및 인수 기회 선점 ▲프라이빗에쿼티(PE) 초기 자본 투입으로 주관권 확보 ▲실물 부동산 프로젝트 투자 등 IB 영업을 활성화해 그룹사 고객에게 다양한 금융상품을 공급한다는 구상이다.
남 대표는 “우리금융 계열사와 시너지를 통해 후발주자로서 한계를 조속히 극복할 것”이라며 “대규모 자본력과 우리은행의 기업금융 노하우를 바탕으로 성장 잠재력이 높은 혁신 기업에게 자금을 공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IB 부문 전략 설명에 나선 양 부사장은 출범 초기 ▲PE, 벤처캐피탈(VC) 등에 주요 투자자로 참여 ▲기업공개(IPO), 채권발행, 인수금융 등 주선권 확보 ▲지분투자 확대 등을 통해 투자 기반을 다질 계획이라고 했다. 우리투자증권이 발행어음과 계열사 공동펀드를 통해 운용 가능한 영업가용 자본은 약 4조원 수준으로 다른 초대형 IB에 준하는 영업자본 규모다.
박 부사장은 S&T 부문 성장 세부 전략에 대해 출범 초기에는 환매조건부채권(RP), 종합자산관리계좌(CMA), 유가증권 등 국내 상품 기반 S&T 역할 재정비에 주력할 계획이며, 이후 해외채권, 대체자산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계획을 설명했다. 중기적으로 글로벌 시장 조성자(Market Maker)로 성장해 2028년까지 운용자산 15조원을 달성하겠다는 로드맵도 제시했다.
박 부사장은 “단계적인 사업 구축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마켓 메이커로서 역할을 목표로 한다”며 “IB와 리테일의 브릿지 역할을 하는 ‘인사이트풀 엑스퍼트 그룹)Insightful Expert Group’을 최종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리테일 부문 심기우 부사장은 금융투자상품의 판매 기반 확대를 목표로 설정했다. 국내주식 중개 MTS를 연내 개설해 다양한 상품을 개인 고객에게 공급할 예정이다. 또 기존 펀드슈퍼마켓 기능에 더해 주식·채권 중개가 가능한 종합 자산관리 플랫폼으로 고도화함으로써 고액자산가 3만명, 고객자산 43조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초고액자산가를 위해서는 기존 오프라인 점포를 프라이빗뱅커(PB) 영업의 거점 센터로 활용해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심 부사장은 “기존 은행 고객을 증권고객화 하는데 최대한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며 “브로커리지로 우리금융의 우량고객을 확보하고 기존 펀드슈퍼마켓을 자산관리 플랫폼으로 고도화해 고객을 락인(Lock-in) 할 예정이다. 지점 확장 전략 보단 초고액자산가 대상 맞춤형 PB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연계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선별적인 대면영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남 대표는 마지막으로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께서 인사, 조직, 성과보상 등을 자본시장 기준에 맞춰 우리투자증권에 맡겨주신다고 약속했다”며 “소통과 화합, 원팀 정신에 기초한 창조적인 기업문화를 구축해 우투와 직원이 빠르게 동반 성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돈독 올라 미쳤구나"…박나래 양세형 열애설에 '폭탄 발언'
2현대차·기아, 삼성SDI와 로봇 전용 배터리 공동 개발 맞손
3'딥시크 효과' 중국 기술주, 美 트럼프 견제책 여파에 급락
41월 서울 원룸 전월세 가격 소폭 올라…평균 월세 75만원
5충남 천안시 고속도로 공사장 붕괴…작업자 8명 매몰 추정
6고려아연 “ESG 경영 체계 고도화 지속”
7블랙핑크 리사 나오자 '초대박'…'예약률 500%' 난리 난 이곳은
8한화손보, 화재피해 여성가정에 총 1400만원 지원
9코스닥협회, 이동훈 켐트로스 대표 신임 회장 선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