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간 여성에게 자유를’ 메시지 펼치고 실격된 난민 비걸의 사연
올림픽 조직위, 정치적 의사 표현이라는 이유로 ‘0점’ 처리
아프간 출신 난민 대표 탈라시…탈레반 장악 이후 스페인 정착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2024 파리 올림픽 브레이킹 비걸 종목에 출전한 아프가니스탄 출신 난민 대표 마니자 탈라시(21)가 실격 처분을 받았다.
그는 연기를 마친 뒤 '아프가니스탄 여성들에 자유를'(Free Afghan Women)이란 메시지를 펼쳐 보였는데, 대회조직위원회는 이것이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금지한 '정치적 의사 표현'으로 해석했다.
탈라시는 10일(한국시간) 프랑스 파리 콩코르드 광장에서 열린 파리 올림픽 브레이킹 비걸 첫 경기에서 네덜란드의 인디아 사르조에와 맞대결을 펼쳤다.
그는 공연 도중 상의를 벗고 안에 입은 옷 등 뒤에 'Free Afghan Women'이라는 메시지를 펼쳐 보여 관중들로부터 박수를 받기도 했다.
결과는 썩 좋지 않았다. 탈라시는 심사위원단 투표에서 사르조에에게 밀려 16강 진출에 실패했다.
경기 후 대회 조직위원회는 경기 결과를 '점수 차에 의한 패배'가 아닌 '실격 처분(DSQ)'으로 바꿨다. 아울러 탈라시의 점수를 '0점'으로 표기했다.
탈라시가 IOC 헌장 50조를 위반했다는 이유에서다.
IOC는 헌장에 '올림픽 현장에서는 어떠한 종류의 시위나 정치·종교·인종적 선전을 할 수 없다'고 명기했다. 스포츠의 정치적 중립을 지키기 위한 조처다.
IOC는 해당 규정을 위반할 경우 국가올림픽위원회, 국제 연맹 및 IOC가 해당 안건을 평가한 뒤 필요에 따라 사안별로 징계 조처를 할 수 있다고 명시했다.
탈라시는 탈락 사유와 관계없이 자신의 행동에 관해 자랑스러워했다.
그는 "난 사람들에게 불가능한 것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아프가니스탄 카불에서 자란 탈라시는 인터넷을 통해 브레이크 댄스를 접했고, 여느 또래처럼 댄스를 배웠다.
그러나 2021년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하면서 탈라시의 꿈은 무너졌다.
탈레반은 여성들의 스포츠 및 대외 활동을 막았고, 여성 브레이크 댄서로 성장하던 탈라시는 살해 위협까지 받았다.
탈라시는 이후 아프가니스탄을 탈출해 파키스탄을 거쳐 스페인에 정착했다.
한편, 브레이킹은 1970년대 미국에서 시작된 어반 스타일의 댄스다. 힙합 문화에 뿌리를 둔 브레이킹은 뉴욕 브롱크스의 활기찬 블록 파티에서 처음 탄생됐다. 브레이킹은 지난 2018년 부에노스아이레스 하계 청소년 올림픽에서 큰 성공을 거둔 데 이어 이번 파리 올림픽 공식 스포츠 프로그램 안에 서핑, 스케이트보드, 스포츠 클라이밍과 함께 새로운 스포츠로 선정됐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그는 연기를 마친 뒤 '아프가니스탄 여성들에 자유를'(Free Afghan Women)이란 메시지를 펼쳐 보였는데, 대회조직위원회는 이것이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금지한 '정치적 의사 표현'으로 해석했다.
탈라시는 10일(한국시간) 프랑스 파리 콩코르드 광장에서 열린 파리 올림픽 브레이킹 비걸 첫 경기에서 네덜란드의 인디아 사르조에와 맞대결을 펼쳤다.
그는 공연 도중 상의를 벗고 안에 입은 옷 등 뒤에 'Free Afghan Women'이라는 메시지를 펼쳐 보여 관중들로부터 박수를 받기도 했다.
결과는 썩 좋지 않았다. 탈라시는 심사위원단 투표에서 사르조에에게 밀려 16강 진출에 실패했다.
경기 후 대회 조직위원회는 경기 결과를 '점수 차에 의한 패배'가 아닌 '실격 처분(DSQ)'으로 바꿨다. 아울러 탈라시의 점수를 '0점'으로 표기했다.
탈라시가 IOC 헌장 50조를 위반했다는 이유에서다.
IOC는 헌장에 '올림픽 현장에서는 어떠한 종류의 시위나 정치·종교·인종적 선전을 할 수 없다'고 명기했다. 스포츠의 정치적 중립을 지키기 위한 조처다.
IOC는 해당 규정을 위반할 경우 국가올림픽위원회, 국제 연맹 및 IOC가 해당 안건을 평가한 뒤 필요에 따라 사안별로 징계 조처를 할 수 있다고 명시했다.
탈라시는 탈락 사유와 관계없이 자신의 행동에 관해 자랑스러워했다.
그는 "난 사람들에게 불가능한 것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아프가니스탄 카불에서 자란 탈라시는 인터넷을 통해 브레이크 댄스를 접했고, 여느 또래처럼 댄스를 배웠다.
그러나 2021년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하면서 탈라시의 꿈은 무너졌다.
탈레반은 여성들의 스포츠 및 대외 활동을 막았고, 여성 브레이크 댄서로 성장하던 탈라시는 살해 위협까지 받았다.
탈라시는 이후 아프가니스탄을 탈출해 파키스탄을 거쳐 스페인에 정착했다.
한편, 브레이킹은 1970년대 미국에서 시작된 어반 스타일의 댄스다. 힙합 문화에 뿌리를 둔 브레이킹은 뉴욕 브롱크스의 활기찬 블록 파티에서 처음 탄생됐다. 브레이킹은 지난 2018년 부에노스아이레스 하계 청소년 올림픽에서 큰 성공을 거둔 데 이어 이번 파리 올림픽 공식 스포츠 프로그램 안에 서핑, 스케이트보드, 스포츠 클라이밍과 함께 새로운 스포츠로 선정됐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경기둔화 우려에 ‘금리 인하’ 효과 ‘반짝’…반도체 제재 우려↑
2얼어붙은 부동산 시장…기준금리 인하에도 한동안 ‘겨울바람’ 전망
3연간 1000억? 영풍 환경개선 투자비 논란 커져
4 야당, '예산 감액안' 예결위 예산소위서 강행 처리
5‘시총 2800억’ 현대차증권, 2000억원 유증…주가 폭락에 뿔난 주주들
6삼성카드, 대표이사에 김이태 삼성벤처투자 사장 추천
7업비트, 투자자보호센터 서포터즈 '업투' 3기 수료식 개최
8빗썸, 원화계좌 개설 및 연동 서비스 전면 개선 기념 이벤트…최대 4만원 혜택
9페이히어, 브롱스와 ‘프랜차이즈 지점 관리’ 업무협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