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드민턴협회장 “구세대 관습 없앨 것…안세영 의견 전부 검토”
김택규 대한배드민턴협회장 인터뷰
“엘리트 체육 인사들이 눈과 귀 가렸다” 주장도
[이코노미스트 이혜리 기자] 김택규 대한배드민턴협회장이 불합리한 관습과 제도를 개선해달라는 안세영(22·삼성생명)의 호소에 귀를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김 회장은 27일 세계배드민턴연맹(BWF) 월드투어 슈퍼 500 코리아오픈이 개막한 전남 목포체육관에서 연합뉴스와 인터뷰를 하고 이같이 밝혔다. 그가 언론사 대면 인터뷰에 응한 것은 안세영이 2024 파리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한 후 작심 발언을 한 뒤 최초다.
김 회장은 “전체적으로 구세대의 관습은 없애야 한다. 예를 들어 국가대표 선발, 후원과 계약에 대한 규정을 모두 손봐야 한다”면서 “선수가 국가대표 생활을 편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말했다.
또 “안세영 선수가 금메달을 따고도 그런 말을 했다는 것은 얼마나 (한이) 맺혔다는 것이겠느냐”면서 “(협회장 임기가) 얼마 남지 않았지만, 제도 개선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 안세영 선수가 의견을 낸 부분에 대해서 전부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김 회장은 “대한체육회 가맹단체들과 전체적인 흐름은 같아야 한다”면서 “제가 혼자 모든 것을 판단해서 혼자 결정할 일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는 김학균 대표팀 감독에 대해 “수십명의 선수들과 코치진을 지도하려면 여러 자질이 있어야 하는데 너무 개인적인 성향이 많지 않았나 싶다”면서 “올림픽 출전 선수 위주로 대표팀을 운영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고, 잘하는 선수들과의 소통도 진짜 원활히 이뤄졌는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안세영은 국가대표 선발과 후원·계약 관련 규정 개선을 요구했다. 국가대표 선발 규정은 국가대표 은퇴선수의 국제대회 출전 허용 기준으로 여자 만 27세, 남자 만 28세 이상이어야 한다고 정했다.
안세영은 “대표팀에서 나간다고 해서 올림픽을 못 뛰는 것은 선수에게 야박하지 않나 싶다”고 말했다.
현재 국가대표 운영 지침은 ‘(선수는) 협회가 지정한 경기복 및 경기 용품을 사용하고 협회 요청 시 홍보에 적극 협조한다’고 정한다.
한국실업배드민턴연맹 규정은 ‘(신인선수 중) 고등학교 졸업 선수의 계약기간은 7년으로 한다. 계약금은 7년간 최고 1억원을 초과할 수 없다’면서 ‘입단 첫해 연봉은 최고 5000만원을 초과할 수 없다. 연봉은 (3년 경과 전까지) 연간 7% 이상을 인상할 수 없다’고 정해놨다.
안세영은 지난 5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광고가 아니더라도 배드민턴으로도 경제적인 보상을 충분히 누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스폰서나 계약적인 부분을 막지 말고 많이 풀어줬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김 회장은 협회 임원진의 후원이 전무하다는 지적에 대해 “배드민턴협회는 언제부터였는지 모르겠지만, (임원이 후원금을) 낸 적이 한 번도 없다”면서 “협회 정관에 임원에게 분담금을 부과하는 내용을 집어넣으면 해결될 일”이라고 답했다.
외부 후원 유치 노력도 부족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엔 “제가 협회에 왔을 때는 (후원사가) 거의 다 정해져 있었다. 이제는 돈을 많이 주는 쪽으로 바꿔야 한다”고 인정했다.
정부 사업으로 셔틀콕을 사며 전체 30%에 달하는 물량을 이면 계약을 통해 추가로 받았다는 의혹에 대해 그는 “후원 물품으로 받은 것인데 당시 변호사로부터 문제가 없다는 법리 해석을 받았다”고 말했다.
직원에게 폭언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큰소리를 친 부분은 잘못했다. 만약 제가 욕을 해서 상처를 입었다면 제가 사과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념품 제작 업체로부터 리베이트를 받았다는 의혹에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생활체육 출신의 김 회장은 엘리트 체육 인사들이 협회 이사회 과반을 차지하고 협회 행정을 방해했다고 주장했다.
김 회장은 “그들이 제 눈과 귀를 가렸다. 이사회를 할 때마다 한 번도 제 의견이 관철된 적이 없었다”면서 “결국 ‘무능한 회장’이 안세영의 말로 인해 선수들의 불편함을 알게 된 격”이라고 털어놨다. 자신에 대해 제기된 의혹은 내부 파벌에서 비롯한 것이라는 주장이다.
김 회장은 “안세영 선수가 말한 것에 대해 무엇을 개선할지 의논하기에도 시간이 부족한데, 그 사람들은 지금도 관심 없고 비방만 하고 있다”면서 “엘리트 출신 인사들이 그러고 다닐 게 아니라 대안을 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 회장은 27일 세계배드민턴연맹(BWF) 월드투어 슈퍼 500 코리아오픈이 개막한 전남 목포체육관에서 연합뉴스와 인터뷰를 하고 이같이 밝혔다. 그가 언론사 대면 인터뷰에 응한 것은 안세영이 2024 파리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한 후 작심 발언을 한 뒤 최초다.
김 회장은 “전체적으로 구세대의 관습은 없애야 한다. 예를 들어 국가대표 선발, 후원과 계약에 대한 규정을 모두 손봐야 한다”면서 “선수가 국가대표 생활을 편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말했다.
또 “안세영 선수가 금메달을 따고도 그런 말을 했다는 것은 얼마나 (한이) 맺혔다는 것이겠느냐”면서 “(협회장 임기가) 얼마 남지 않았지만, 제도 개선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 안세영 선수가 의견을 낸 부분에 대해서 전부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김 회장은 “대한체육회 가맹단체들과 전체적인 흐름은 같아야 한다”면서 “제가 혼자 모든 것을 판단해서 혼자 결정할 일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는 김학균 대표팀 감독에 대해 “수십명의 선수들과 코치진을 지도하려면 여러 자질이 있어야 하는데 너무 개인적인 성향이 많지 않았나 싶다”면서 “올림픽 출전 선수 위주로 대표팀을 운영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고, 잘하는 선수들과의 소통도 진짜 원활히 이뤄졌는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안세영은 국가대표 선발과 후원·계약 관련 규정 개선을 요구했다. 국가대표 선발 규정은 국가대표 은퇴선수의 국제대회 출전 허용 기준으로 여자 만 27세, 남자 만 28세 이상이어야 한다고 정했다.
안세영은 “대표팀에서 나간다고 해서 올림픽을 못 뛰는 것은 선수에게 야박하지 않나 싶다”고 말했다.
현재 국가대표 운영 지침은 ‘(선수는) 협회가 지정한 경기복 및 경기 용품을 사용하고 협회 요청 시 홍보에 적극 협조한다’고 정한다.
한국실업배드민턴연맹 규정은 ‘(신인선수 중) 고등학교 졸업 선수의 계약기간은 7년으로 한다. 계약금은 7년간 최고 1억원을 초과할 수 없다’면서 ‘입단 첫해 연봉은 최고 5000만원을 초과할 수 없다. 연봉은 (3년 경과 전까지) 연간 7% 이상을 인상할 수 없다’고 정해놨다.
안세영은 지난 5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광고가 아니더라도 배드민턴으로도 경제적인 보상을 충분히 누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스폰서나 계약적인 부분을 막지 말고 많이 풀어줬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김 회장은 협회 임원진의 후원이 전무하다는 지적에 대해 “배드민턴협회는 언제부터였는지 모르겠지만, (임원이 후원금을) 낸 적이 한 번도 없다”면서 “협회 정관에 임원에게 분담금을 부과하는 내용을 집어넣으면 해결될 일”이라고 답했다.
외부 후원 유치 노력도 부족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엔 “제가 협회에 왔을 때는 (후원사가) 거의 다 정해져 있었다. 이제는 돈을 많이 주는 쪽으로 바꿔야 한다”고 인정했다.
정부 사업으로 셔틀콕을 사며 전체 30%에 달하는 물량을 이면 계약을 통해 추가로 받았다는 의혹에 대해 그는 “후원 물품으로 받은 것인데 당시 변호사로부터 문제가 없다는 법리 해석을 받았다”고 말했다.
직원에게 폭언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큰소리를 친 부분은 잘못했다. 만약 제가 욕을 해서 상처를 입었다면 제가 사과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념품 제작 업체로부터 리베이트를 받았다는 의혹에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생활체육 출신의 김 회장은 엘리트 체육 인사들이 협회 이사회 과반을 차지하고 협회 행정을 방해했다고 주장했다.
김 회장은 “그들이 제 눈과 귀를 가렸다. 이사회를 할 때마다 한 번도 제 의견이 관철된 적이 없었다”면서 “결국 ‘무능한 회장’이 안세영의 말로 인해 선수들의 불편함을 알게 된 격”이라고 털어놨다. 자신에 대해 제기된 의혹은 내부 파벌에서 비롯한 것이라는 주장이다.
김 회장은 “안세영 선수가 말한 것에 대해 무엇을 개선할지 의논하기에도 시간이 부족한데, 그 사람들은 지금도 관심 없고 비방만 하고 있다”면서 “엘리트 출신 인사들이 그러고 다닐 게 아니라 대안을 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결혼·출산율 하락 막자”…지자체·종교계도 청춘남녀 주선 자처
2“역지사지의 마음으로 진정성 있는 소통에 나설 것”
350조 회사 몰락 ‘마진콜’ 사태 한국계 투자가 빌 황, 징역 21년 구형
4노르웨이 어선 그물에 낚인 '대어'가…‘7800t 美 핵잠수함’
5'트럼프의 입' 백악관 입성하는 20대 女 대변인
6주유소 기름값 5주 연속 상승…“다음주까지 오른다“
7트럼프에 뿔난 美 전기차·배터리업계…“전기차 보조금 폐지 반대”
8"백신 맞고 자폐증" 美 보건장관의 돌팔이 발언들?
9‘APEC CEO’ 서밋 의장된 최태원 회장…‘b·b·b’ 엄치척 의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