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CJ바이오사이언스, 서울대병원과 감염 진단 공동연구 계약 체결

난진단성 질병 대성 NGS 분석 정보 제공
환자별 항생제 처방 최적화에 활용될 듯

[이코노미스트 선모은 기자] CJ바이오사이언스는 서울대병원 감염내과(박완범 교수)·신장내과(김용철 교수)와 감염 진단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기술력으로 병원균 판별과 항생제 감수성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서울대병원은 이런 정보가 유용한지 분석한다.

이번 공동연구는 미생물 검사 방식으로 진단하기 어려운 복잡성 복강 내 감염과 다낭성 콩팥병의 낭종 감염 등 질병이 대상이다. 연구를 통해 임상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병원균 정보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CJ바이오사이언스는 기대하고 있다. 진단을 통해 환자와 질병별로 최적화된 항생제 용량, 종류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미생물 검사 방식인 '세균 배양 검사'는 미생물을 배양한 후 화학적 특성을 분석해 종을 감별한다. 결과를 얻기까지 3~4일이 걸리고, 균이 잘 자라지 않는 균종은 검사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NGS 방식은 병원균에서 핵산을 추출해 전체 유전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대다수의 균을 판별할 수 있다. 검사 시간도 빠르면 6시간 정도다.

NGS로 균주를 판별하려면 방대한 마이크로바이옴 균주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하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10여 년간 쌓은 균주 데이터에 2022년 확보한 4D파마의 유럽인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를 더했다. 인공지능(AI)으로 마이크로바이옴 유전체를 분석, 처리 속도도 높였다. NGS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준비를 갖췄다는 설명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트럼프 지지율, 가파르게 추락…100일도 안돼 '역대 최저치'

2일본에서 난리났다...무신사, K-패션 성공 가능성 입증

3“식료품 맛집”...이마트, 푸드마켓 고덕점 오픈

4이창용 한은 총재 “美 관세에 통화정책 ‘어두운 터널’”(종합)

5퍼스널 아이웨어 ‘브리즘’, 80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6해태아이스, 신제품 4종 출시로 제로 라인업 확대

7한양증권 매각 안갯 속...KCGI, 대주주 적격성 심사 중단

8대한항공, ‘에어테이저’ 전문 교관 양성 교육 실시

9볼보 EX90, ‘2025 월드 카 어워즈’에서 ‘월드 럭셔리 카(World Luxury Car)’ 수상

실시간 뉴스

1트럼프 지지율, 가파르게 추락…100일도 안돼 '역대 최저치'

2일본에서 난리났다...무신사, K-패션 성공 가능성 입증

3“식료품 맛집”...이마트, 푸드마켓 고덕점 오픈

4이창용 한은 총재 “美 관세에 통화정책 ‘어두운 터널’”(종합)

5퍼스널 아이웨어 ‘브리즘’, 80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