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앱 수수료 1.5~3.0% 수준”…배달플랫폼 상생협의체 5차 회의
수수료‧광고비 관련 투명성 제고방안 등 논의
다음 6차 회의부터 협의 본격 진행
![](/data/ecn/image/2024/08/28/ecn20240828000090.800x.0.jpg)
이번 회의에서는 ▲결제 수수료 현황 ▲수수료 및 광고비 관련 투명성 제고 방안 ▲고객 정보 등 주문 데이터 공유 방안과 ▲참여 인센티브 마련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이뤄졌다.
먼저 수수료 가운데 결제 관련 수수료에 대해 논의했다. 배달 플랫폼사별 응답에 따르면 배달 플랫폼사들은 카드 결제에 대해서는 1.5~3%의 수수료를 받고 있었다. 계좌 등록 결제와 선불 지급 수단에 의한 결제 등 간편 결제에서는 3%의 수수료로, 사업자 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권 정보시스템 및 고객 관련 정보 제공 확대 등 입점업체가 요청했던 데이터 정보 공유 방안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플랫폼 회사들은 회의에서 자발적인 상생협력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상생 활동에 대한 인센티브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개진했다.
다음 6차 회의에서는 수수료 등 그간 논의했던 주제들을 종합해 플랫폼사-입점 업체 간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견이 좁혀지지 못한 사항에 대해서는 공익 위원들이 중재안을 제시해 중재하는 등 적극 지원을 통해 모두가 동의하는 상생 방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정부는 상생협의체가 원활히 운영, 10월 중 바람직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지난해 국립대병원 10곳, 적자 규모 5600억원 달해
2제주서 잡힌 ‘전설의 심해어’ 돗돔... 크기가 무려 183cm
3못 말리는 한국인의 홍삼 사랑...홍삼원 '1000억 메가 브랜드' 됐다
4상위 1% 부자 되는 법은…“30대엔 몸, 40대엔 머리, 50대엔 ‘이것’ 써라”
5쿠팡이츠, 상생 요금제 도입…매출 하위 20% 수수료 7.8%p 인하
6"갤럭시 S25, 기다려라"...AI 기능 담은 '아이폰 SE4' 출시 임박, 가격은?
7‘농약 우롱차’ 현대백화점 “환불 등 필요한 모든 조치”
8작년 배당금 ‘킹’은 삼성 이재용…3465억원 받아
9유럽, 기후변화로 바람 멈추나…풍력 발전 위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