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갈등은 경영 위험 요인"…수출기업 3곳 중 2곳, 지정학적 리스크 우려
대한상의, 수출제조업 448곳 조사
환율변동·결제지연 등 피해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미중 갈등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에 대해 우리 수출 기업 3곳 중 2곳은 ‘경영 위험’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는 최근 국내 수출제조업 448곳을 대상으로 ‘지정학적 리스크 장기화 영향과 대응 실태조사’를 한 결과, 응답 기업의 66.3%가 지정학적 리스크를 경영 위험 요인으로 인식했다고 17일 밝혔다. 일시적 위험으로 인식한 곳은 39.5%, 사업 경쟁력 저하 수준이라고 답한 기업은 23.7%, 사업 존속을 위협하는 수준이라고 답한 기업은 3.1%였다.
큰 영향이 없다(32.6%)거나 반사이익(0.7%), 새로운 기회 요인(0.4%)으로 생각하는 기업은 약 33.7% 수준이었다.
지정학적 리스크를 위험하다고 판단한 기업의 경우 환율 변동, 결제 지연 등 금융리스크(43.1%)를 걱정하는 곳이 가장 많았고 물류 차질 및 물류비 증가(37.3%), 해외시장 접근 제한·매출 감소(32.9%), 에너지·원자재 조달 비용 증가(30.5%), 원자재 수급 문제로 인한 생산 차질(24.1%), 현지 사업 중단 및 투자 감소(8.1%)에 대한 우려가 뒤를 이었다.
실제 미중 갈등으로 대중국 수출이 대폭 감소하면서 대(對)중국 교역기업 해외시장 접근 제한·매출 감소(30.0%) 피해가 가장 컸다. 미국과 러시아 대상 수출입 기업은 환율 변동, 결제 지연 등 금융 리스크 피해(미국 30.2%, 러시아 54.5%)가 가장 많았고, 유럽연합(EU)과 중동으로 수출입하는 기업은 물류 차질 및 물류비 증가 피해(EU 32.5%, 중동 38.0%)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지정학적 리스크의 향후 전개 방향에 대한 질문에는 기업의 40.2%가 지금 수준의 영향이 지속될 것이라고 답했다. 지금보다 더 빈번하게 발생할 것이라고 답한 기업은 22.5%였다. 반면 완화될 것이라는 전망은 7.8%에 불과했다. 위험에 대처하기 위해 비용 절감 또는 운영효율성을 강화하겠다고 답한 기업은 57.8% 수준이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대만해협을 둘러싼 양안 갈등, 북한 핵 위협 등 향후 우리 기업 경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 리스크가 상존하고 있다”며 “중장기적으로는 정부가 민관 협력을 통해 자원개발을 주도하고 핵심 원자재의 공급망 안정화에 주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