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새로운 60년 준비를” 국교정상화 60주년 앞두고 만난 한일 재계 [이슈+]

지속가능사회 실현·무역투자 협력·미래 협력 논의
수소협력 강화·공급망 위기 공동대응 강조

제31회 한일재계회의 모습 [사진 한국경제인협회]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한국을 대표하는 두 경제 단체가 내년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미래지향적인 새로운 60년을 준비하자며 손을 맞잡았다. 

한국경제인협회와 일본 게이단렌(經團連·경제단체연합회)은 18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콘퍼런스센터에서 ‘제31회 한일재계회의’를 진행했다. 한국 기업인 17명 일본 기업인 7명이 참석했다. 

류진 한경협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새로운 60년을 향해 무엇을 해야 할지 양국 경제인들은 진지하게 설계해야 한다”며 “저출생, 지방 소멸, 기후 위기 등 직면한 문제의 해결은 물론 세계 경제의 패러다임 시프트를 함께 주도할 협력 방안의 구상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도쿠라 마사카즈 게이단렌 회장은 “내년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미래지향적인 한일관계 구축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양국 협력 과제로 ▲ 중요물자 공동조달 ▲ 수소·암모니아 공급망 구축 ▲ 한국의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 지원 ▲ 스타트업 협력포럼 등 인적교류 확대를 제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지속가능한 사회 실현을 위한 한일 협력’을 주제로 한국과 일본의 수소 및 디지털 전환 협력에 관한 논의가 이뤄졌다. 특히 양국 정부의 수소 협력 대화가 민간으로 확대돼야 협력이 더욱 구체화 될 것이라고 의견을 모았다. 

‘무역투자 분야 한일 협력’ 주제로는 경제안보와 첨단산업에서 힘을 합쳐 시너지를 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한국과 일본, 미국의 협력으로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에서 지역 경제 질서 형성에 기여하는 방안도 나왔다. 지난 6월 발족한 ‘한미일 비즈니스 대화’를 기회로 3국 경제협력을 확대하자는 의견도 나왔다.

이날 양국 기업인들은 공동성명을 통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APEC, G20, G7 등에서의 한일 간 협력을 위한 노력 ▲지속가능한 사회 실현 노력 ▲안정적 공급망 및 수소 등 청정에너지 협력 ▲신생 산업 등에서의 국제표준 마련 협력 ▲한미일 경제협력 강화 ▲ 인공지능(AI)·양자컴퓨터 등에 있어 고도인재 활용 협력 ▲스타트업 협력 ▲국교정상화 60주년 기념 다양한 세대·분야 협력 등을 강조했다. 

이 밖에 60주년 기념 사업을 함께 진행하고, 내년 적당한 시기에 일본 도쿄에서 제32회 한일재계회의를 열기로 합의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오세훈 서울시장, 대선 불출마…“비정상의 정상화 위해 백의종군”

2위믹스 생태계 구축으로 국내 블록체인 시장 선도한 위메이드

3 오세훈 서울시장, 대선 불출마 선언

4‘산불사태’ 국민성금 1328억원 모여

5커피값 올려야 생존하는 저가커피의 딜레마

6농심-삼양의 '60년 라면전쟁'...K-푸드, '세계의 별'로 만들다

7주유소 기름값 9주 연속 하락…미국 상호관세 발표 영향

8비트코인 10만 달러 '재탈환' 시동?...연준 '유동성 언급'에 8만 3천 달러 반등

9 트럼프 “일부 예외 있을 수 있지만, 상호관세 10%가 하한선”

실시간 뉴스

1오세훈 서울시장, 대선 불출마…“비정상의 정상화 위해 백의종군”

2위믹스 생태계 구축으로 국내 블록체인 시장 선도한 위메이드

3 오세훈 서울시장, 대선 불출마 선언

4‘산불사태’ 국민성금 1328억원 모여

5커피값 올려야 생존하는 저가커피의 딜레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