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신세계, 외형 성장은 이뤘지만…3분기 영업익 29.5%↓

㈜신세계, 3분기 매출 2조7089억원∙영업이익 930억원
면세·패션사업 부진에 영업이익 감소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사진 신세계백화점]
[이코노미스트 이혜리 기자] 신세계의 3분기 영업이익이 30% 가까이 줄어들었다. 백화점 매출은 상승했으나 면세와 패션사업이 부진하면서 영업이익이 줄어든 탓이다.

8일 신세계는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매출 2조708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 증가했다고 8일 공시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930억원으로 29.5% 감소했고 순이익은 366억원으로 40.7% 줄었다.

사업 부문별로 살펴보면 백화점 사업의 매출이 6196억원으로 2.5% 늘면서 외형 성장을 이어갔으나 영업이익은 883억원으로 4.8% 줄었다. 영업이익 감소는 강남점과 대구점, 타임스퀘어 등 주요 점포의 리뉴얼(재단장) 투자로 감가상각비가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연결 자회사도 매출 성장세를 이어갔다. 신세계라이브쇼핑은 매출이 770억원으로 16.3% 상승했다. 올가을 새롭게 선보인 자체 여성복 브랜드 에디션S, 블루핏, 에디티드 등이 약진하고 관계사와 연계한 차별화 상품의 시너지 효과를 낸 덕분이다. 영업이익도 13억원으로 8.3% 증가했다. 티몬·위메프의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로 28억원의 손실을 봤음에도 영업이익 흑자 기조를 지켰다. 신세계까사는 매출이 686억원으로 10.1% 늘었고 영업이익은 2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면세점 사업을 하는 신세계디에프도 매출이 4717억원으로 8.2% 늘었다. 그러나 인천국제공항 임대료 증가와 중국의 소비 침체, 원/달러 환율 악화(원화 가치 하락) 등이 겹쳐 영업이익은 162억원 적자 전환했다. 신세계까사는 매출이 686억원으로 10.1% 늘었고 영업이익은 2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매출과 영업익이 동반 하락했다. 국내 패션시장의 침체가 이어진 여파다. 연결 기준 매출이 2960억원으로 6.3% 줄었고 영업이익도 21억원으로 65% 급감했다. 이밖에 신세계센트럴시티는 호텔 부문의 실적 호조로 매출 944억원, 영업이익 259억원을 기록했다. 각각 0.2%, 3.7% 증가한 것이다.

신세계 관계자는 “소비 심리 위축 등 어려운 유통 환경 속에서도 백화점을 비롯한 대부분의 자회사가 외형 성장을 이뤄냈다”며 “‘콘텐츠 크리에이터’로서 백화점 업계를 선도하는 동시에 자회사의 핵심 경쟁력을 높여 내실 있는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국민연금만 ‘月 543만원’ 받는다…‘역대급’ 수령한 부부 비결 봤더니

2“한국은 25%, 기본 10%”…트럼프발 전세계 ‘관세 폭탄’ 터졌다

3파면 이틀째 尹, 관저 퇴거는 언제...아크로비스타 복귀에 ‘관심’

4 "다시 윤석열" 전 국방부장관 김용현, 윤 전 대통령 파면에 옥중서신

5“싸구려 취급” 분노에도...전국민 2명 중 1명, ‘지프리 프사’ 이용했다

6‘자산 500조’ 머스크, 세계부자 1위 탈환…韓 1위는?

7北김정은, ‘尹파면’에 특수부대 훈련시찰…“싸움 준비가 최고의 애국”

8애플·엔비디아·테슬라도 무너졌다...서학개미들 ‘곡소리’

9최대 6일 쉬는 ‘5월 황금연휴’ 어디로 갈까…1위 인기 여행지는 ‘이 곳’

실시간 뉴스

1국민연금만 ‘月 543만원’ 받는다…‘역대급’ 수령한 부부 비결 봤더니

2“한국은 25%, 기본 10%”…트럼프발 전세계 ‘관세 폭탄’ 터졌다

3파면 이틀째 尹, 관저 퇴거는 언제...아크로비스타 복귀에 ‘관심’

4 "다시 윤석열" 전 국방부장관 김용현, 윤 전 대통령 파면에 옥중서신

5“싸구려 취급” 분노에도...전국민 2명 중 1명, ‘지프리 프사’ 이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