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 소리 나는 퇴직금에...KT 본사 직원 대폭 줄어들까
퇴직금 올리자 퇴사 신청 봇물
전출·희망퇴직 4500여 명 신청

1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KT 임직원 1723명은 통신 네트워크 신설 자회사 2곳으로의 전출을 신청했다. 전출과 함께 진행한 특별희망퇴직에는 2800명의 임직원이 신청했다. KT 본사 직원의 23% 정도가 회사를 떠나는 셈이다.
이는 KT가 '희망퇴직보상금'을 최대 4억3000만원으로 올린 결과로 풀이된다. KT는 인력을 강제적으로 구조조정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파격적인 위로금으로 고령 사원의 퇴직을 유도했다. 관련해 퇴직을 신청한 임직원은 50대 과장 인력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별희망퇴직을 신청한 임직원들은 인사위원회를 통해 최종 선발된 이후 이달 8일자로 퇴직한다. 신설 자회사로의 전출이나 특별희망퇴직을 선택하지 않고 KT에 남은 직원들은 올해 정기인사를 통해 배치될 예정이다. 해당 직원들은 이론 교육과 현장 실습 등으로 구성된 직무전환 교육을 받는다.
전체 인원의 6분의 1가량에 해당하는 인력이 빠진다면, KT가 업무 공백을 피할 수 없을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이에 대해 KT는 일부 직무를 맡을 단기 계약직을 채용하기로 했다. 정년퇴직자를 대상으로도 계약직으로 현업 복귀 의사를 묻고 있다. 이들은 KT의 네트워크 운용 자회사로 내년 신설될 KT 넷코어 출범까지 일한다.
KT는 업무 수행 방식을 정보기술(IT)을 고도화해 개선하고 있어 현장 인력 공백으로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선로를 설계할 때 현장의 상세 설계 업무에 선로품질관리시스템(ATACAMA)을 도입하는 등 업무를 자동화했다는 설명이다. 이를 통해 퇴직으로 인한 공백이 근무 중인 임직원의 업무에 줄 영향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