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공학 전환 결사 반대" 동덕여대 근조화환 행렬 시위
재학생 과잠·피켓 시위

12일 동덕여대 총학생회에 따르면 지난 11일 오전부터 동덕여대 본관 앞에는 "명예롭게 폐교하라"는 현수막과 함께 대학 점퍼(과잠)를 벗어두는 학생들의 시위가 벌어졌다.
백주년기념관 건물 앞에는 '공학 전환 결사반대'라는 팻말이 붙은 근조화환이 늘어섰다. 총학생회는 본관 앞에서 "대학본부는 여자대학 설립 이념을 명심하라", "사기 입학 웬말이냐" 등이 적힌 피켓을 들고 시위 중이다.
앞서 총학생회는 대자보를 통해 "대학본부는 여자 대학의 존재 의의를 다시 한번 상기하라"며 "(학교 측의) 무모한 공학 전환 철회를 요구하며 다시는 이런 말도 안 되는 일이 거론되지 않길 바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총학생회를 시작으로 단과대 학생회도 잇달아 릴레이 대자보를 학교 건물 및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게재하고 있다.
동덕여대 측은 남녀공학 전환에 대해 학교 미래를 위해 검토되는 여러 방안 중 하나일 뿐 확정된 사안이 아니라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동덕여대 관계자는 "학교의 발전계획안인 '비전 2040'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아이디어 중 하나로 제시된 것"이라며 "그 이후 발전된 게 하나도 없는 상태"라고 밝혔다.
교육부에 따르면 전국에서 남은 4년제 여자대학은 동덕여대, 이화여대 등 7곳이다. 한양여대를 비롯한 전문대를 더하면 모두 14곳이다.
앞서 상명여대는 1996년 남녀공학으로 전환해 상명대로 바뀌었다. 성심여대는 가톨릭대와 통합했고 대구의 효성여대는 대구가톨릭대와 통합돼 남녀공학이 됐다.
여대의 공학 전환 움직임은 학령 인구 감소와 사회 변화로 남학교나 여학교에서 남녀공학으로 전환되는 중·고교 사례가 이어지는 것과 맞물리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北김정은, ‘尹파면’에 특수부대 훈련시찰…“싸움 준비가 최고의 애국”
2애플·엔비디아·테슬라도 무너졌다...서학개미들 ‘곡소리’
3최대 6일 쉬는 ‘5월 황금연휴’ 어디로 갈까…1위 인기 여행지는 ‘이 곳’
4尹파면 선고 끝났지만…오늘 서울 도심서 찬반집회 계속 된다
5디저트 좋아서 시작한 도레도레...250억원대 브랜드가 되다
6‘관세 충격’ 미국 증시 5년 만에 최대 폭락
7尹 '탄핵'되면 오른다더니…코스피 '외국인 투매'에 파랗게 질렸다
8안전자산 ‘금’도 팔았다…글로벌 증시 패닉셀에 금값 ‘뚝’
9"소맥 대신 위스키 먹자"...주류업계, 니치 마켓 집중 공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