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국제 금값 3년 만에 최대 하락…트럼프 복귀에 골드랠리 끝?

연초 이후 지속된 금값 랠리…미 대선 기점 멈춰

올해 상승세를 지속해 온 국제 금값이 지난주 급락세로 돌아섰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박관훈 기자] 올해 상승세를 지속해 온 국제 금값이 지난주 급락세로 돌아섰다. 영국 파이낸셜임스(FT) 등에 따르면 지난 한주 국제 금값은 4.6% 내렸다. 3년 만에 가장 큰 주간 하락 폭이다.

작년 말 온스 당 271달러선이던 금값은 올해 들어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우며 지난 10월 30일 2800선으로 정점을 찍었다. 연초 대비 35% 급등했다. 이후 하락세로 돌아서 지난 15일 2561달러까지 내려갔다. 미국 대선 다음날 3.1%나 폭락한 것을 포함해 이달 들어 7% 떨어졌다.

일각에선 금값 반락이 그간의 랠리에 뛰어든 투기성 자금이 이탈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한다. 금값 강세가 추세적으로 꺾인 것이 아니라 단기 급등에 따른 부담으로 조정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금 정체업체 MKS 팸프의 리서치 책임자 니키 쉴스는 “비트코인, 테슬라, 트럼프 트레이드 등에 자금이 유입됐고, 이는 금과 같은 전통적 안전자산에서 자금을 끌어들이고 있다”며 “금값 강세 추세가 반전된 것은 아니며 금값이 너무 빨리 올랐을 뿐이고, 지금은 덜 강한 추세로 돌아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미국 대선과 의회 선거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모두 사라진 것도 자금시장에서 불확실성 요인이 제거됐다는 점에서 금값에 영향을 미쳤다는 관측도 나온다. 그러나 달러화 급등이 금값 랠리를 뒷받침해 온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입 수요를 약화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일반적으로 비수익 자산인 금은 금리 하락기에 선호가 강해지고 달러화 가치에도 영향을 받는다. 세계금위원회(WGC) 자료에 따르면 지난 2~8일 금 상장지수펀드(ETF)에서 6억달러(약 8400억원)가 순유출됐다. 지난 5월 이후 최대 규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와 대규모 감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다시 촉발하면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하 속도가 늦춰질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다. 이에 미국 국채 금리와 달러화 가치가 급등하는 ‘트럼프 트레이드’가 위력을 발휘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싸구려 취급” 분노에도...전국민 2명 중 1명, ‘지프리 프사’ 이용했다

2‘자산 500조’ 머스크, 세계부자 1위 탈환…韓 1위는?

3北김정은, ‘尹파면’에 특수부대 훈련시찰…“싸움 준비가 최고의 애국”

4애플·엔비디아·테슬라도 무너졌다...서학개미들 ‘곡소리’

5최대 6일 쉬는 ‘5월 황금연휴’ 어디로 갈까…1위 인기 여행지는 ‘이 곳’

6尹파면 선고 끝났지만…오늘 서울 도심서 찬반집회 계속 된다

7디저트 좋아서 시작한 도레도레...250억원대 브랜드가 되다

8‘관세 충격’ 미국 증시 5년 만에 최대 폭락

9尹 '탄핵'되면 오른다더니…코스피 '외국인 투매'에 파랗게 질렸다

실시간 뉴스

1“싸구려 취급” 분노에도...전국민 2명 중 1명, ‘지프리 프사’ 이용했다

2‘자산 500조’ 머스크, 세계부자 1위 탈환…韓 1위는?

3北김정은, ‘尹파면’에 특수부대 훈련시찰…“싸움 준비가 최고의 애국”

4애플·엔비디아·테슬라도 무너졌다...서학개미들 ‘곡소리’

5최대 6일 쉬는 ‘5월 황금연휴’ 어디로 갈까…1위 인기 여행지는 ‘이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