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내부 부진 장기화에 팬데믹 수준 '고용한파'…청년층 '직격'

고물가·고금리 여파로 고용 악화
2020년 이후 세 번째 큰 감소

시민들이 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방문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우승민 기자] 내수 부진이 장기화 되면서 판매직 고용 상황이 코로나19 팬데믹 수준으로 다시 악화했다. 특히 청년층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나 고용시장 활력 저하 우려가 커지고 있다.

1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과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10월 월평균 판매 종사자는 251만 8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만명 감소했다.

7차 표준직업분류 기준이 적용된 2013년 이후 1∼10월 기준 세 번째로 큰 감소 폭이다. 2020년(-12만 7000명)과 2021년(-13만 2000명) 다음으로 많은 수치다.

팬데믹 영향으로 2021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가 2022년(9만 4000명), 2023년(5만 5000명)에는 감소 폭이 크게 둔화했다. 하지만 올해 들어 감소 폭이 다시 커졌고 결국 10만 명을 또 넘어섰다.

월별 추이에서도 판매직 감소 폭은 최근 증가세가 뚜렷하다. 지난 5월 14만 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8월에는 7만 1000명까지 떨어졌지만 다시 늘면서 지난 달 11만 9000명을 기록했다.

수출 호조에서도 고물가·고금리 여파로 인해 소비가 살아나지 못하면서 내수 업종을 중심으로 고용 상황이 악화한 결과라는 풀이가 나온다.

내수는 서비스 소비에 비해 재화 소비인 소매판매가 특히 부진한 모습이다. 올해 3분기 소매판매액은 1년 전보다 1.9% 감소하면서 '역대 최장' 10개 분기째 줄고 있다.

판매직 고용 한파는 이런 소매판매의 누적된 부진과 맞물려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판매직 고용 한파는 청년층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보면 올해 줄어든 판매직 11만명 중 절반에 가까운 5만1000명이 15∼29세 청년층이다. 감소율 기준으로도 청년층이 13.5%로 가장 컸다. 같은 기간 청년층 인구 감소율(2.8%)의 5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이는 내수 부진이 장기화하면서 상대적으로 노동시간이 짧고 임금이 낮은 청년층 일자리가 먼저 타격을 받았기 때문이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내수 부진으로 매출이 장기간 회복되지 못하면서 알바생 고용을 중단하고 자영업자가 직접 매장을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라며 "판매직 감소의 상당수는 저임금 청년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양세찬 장도연, 500명 앞서 뽀뽀…"그래서 제일 짜릿"

2토허제 재지정 후 30·40대 주택 매수자 크게 늘었다

3남보라 7번째 여동생 한소희 닮은 꼴?…"분위기 대박"

4오겜 오영수, 강제추행 혐의 실형 구형…"반성 태도 없어"

5율희, 새벽 4시 '이것' 하고 잠들어…살 빠진 근황

6도쿄 프린스 호텔, 내셔널 지오그래픽이 선정한 ‘도쿄 최고의 도시형 정원’ 중 하나로

7“미·중 전쟁에 ‘양다리 전략’ 취하는 EU기업들”...韓기업 취할 방향성은?

8헌법재판관 8명 전원 출근...2시간 후 '대한민국 운명 갈린다'

9“고효능·고감도 뷰티 브랜드 총출동”…29CM, ‘이구뷰티위크’ 대형 기획전 개최

실시간 뉴스

1양세찬 장도연, 500명 앞서 뽀뽀…"그래서 제일 짜릿"

2토허제 재지정 후 30·40대 주택 매수자 크게 늘었다

3남보라 7번째 여동생 한소희 닮은 꼴?…"분위기 대박"

4오겜 오영수, 강제추행 혐의 실형 구형…"반성 태도 없어"

5율희, 새벽 4시 '이것' 하고 잠들어…살 빠진 근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