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현대차증권 유상증자 물량 100% 참여
대주주 3개사 유증 배정 물량 100% 참여로 주주가치 희석 우려 일부 해소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현대차증권이 2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진행하는 가운데 대주주사인 현대차, 현대모비스, 기아가 약 673억원의 유상증자 배정 물량에 전량 참여를 결정했다고 12일 밝혔다.
앞서 지난 11월 26일 현대차증권은 이사회를 열고 주당 6640원에 약 3012만주의 신주를 발행하는 2000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이후 최대 주주인 현대차는 27일 이사회를 열고 현재 기준 현대차증권에 대한 보유 지분율 25.43%에 해당하는 배정 물량인 약 564만주 전량을 청약할 예정이며 375억원을 출자하기로 결정했다. 2대 주주인 현대모비스 또한 현대차증권 보유 지분율 15.71%에 해당하는 배정 물량인 약 349만주 전량 청약할 예정이며 231억원을 출자하기로 결정했다.
3대 주주였던 기아도 보유 지분율 4.54%에 따라 배정된 물량인 약 101만주를 전량 청약할 예정으로 67억원을 출자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보유 지분율은 각각 22.17%, 13.70%, 3.95%로 줄어들게 된다. 다만, 정확한 출자 금액은 최종 발행가액이 확정된 이후에 확인할 수 있다.
유상증자 배정 물량의 100%를 참여하는 현대차그룹 주주의 합산 물량은 전체의 약 34%에 해당하며, 주주가치 희석에 대한 우려도 일정 부분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약 15년 만에 진행되는 이번 현대차그룹의 증자 참여는 현대차증권이 현대차그룹에 편입된 2008년도와 이듬해인 2009년도에 이어 세 번째다. 두 번의 유상증자 참여 이후 현대차증권은 약 7000억원의 이익을 창출해 자기자본으로 편입한다. 현재는 약 3배에 가까운 1조2000억원대 중형 증권사로 성장할 수 있었다.
한편, 국내 3대 신용평가사 보고서에 따르면 현대차증권은 이번 유상증자로 신용도 하향 압력이 완화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나이스(NICE)신용평가에 따르면, 구체적으로 현대차증권이 증자 완료 시 올해 9월말 기준 자기자본 약 1조2900억원에서 1조4900억원으로 늘어난다고 전했다. 한국기업평가 또한 자기자본이 늘어나면 자본 건전성을 판단하는 지표인 수정NCR과 순자본비율이 각각 267%, 636.4%로 대폭 개선된다고 분석했다.
이렇듯 자기자본의 레버리지 한도로 영업 규모가 결정되는 금융투자업의 특성상 확충된 자본을 바탕으로 채권발해시장(DCM) 및 (주식자본시장)ECM, 기업공개(IPO), 인수물량 확대 등 기업금융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현대차증권은 조달 금액 2000억원 중 절반인 1000억원을 차세대 시스템 개발 구축 및 인공지능(AI) 투자 서비스 차별화 등에 쓰겠다고 밝혔다.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맞아 디지털 인프라 구축에도 투자를 이어나가 미래 성장 동력인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또한 불확실한 영업환경 속에서도 자기자본이익률(ROE), 주가순자산비율(PBR) 개선 등 기업 가치 및 주주 가치 제고를 위한 움직임도 가져갈 예정이다. 지난 6일 단행된 조직 개편과 12월 중 발표될 것으로 알려진 밸류업 프로그램이 그 일환이다.
배형근 현대차증권 사장은 "대대적인 인적 쇄신 및 조직 개편 단행과 함께 이번 유상증자로 늘어나는 자기자본을 바탕으로 ‘기업 밸류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오세훈 서울시장, 대선 불출마…“비정상의 정상화 위해 백의종군”
2위믹스 생태계 구축으로 국내 블록체인 시장 선도한 위메이드
3 오세훈 서울시장, 대선 불출마 선언
4‘산불사태’ 국민성금 1328억원 모여
5커피값 올려야 생존하는 저가커피의 딜레마
6농심-삼양의 '60년 라면전쟁'...K-푸드, '세계의 별'로 만들다
7주유소 기름값 9주 연속 하락…미국 상호관세 발표 영향
8비트코인 10만 달러 '재탈환' 시동?...연준 '유동성 언급'에 8만 3천 달러 반등
9 트럼프 “일부 예외 있을 수 있지만, 상호관세 10%가 하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