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원달러, 이틀 연속 1450원대 마감...'킹달러 쇼크' 이어가

당국 대응책 즉각 마련, 선물환 한도 증액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 대응센터에서 직원이 달러와 원화를 정리하고 있는 모습. 기사와 직접적 관련 없음.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박지수 기자] 원달러 환율이 이틀째 1450원에 마감했다. 미국의 금리인하 속도가 완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동시에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을 앞두고 인플레이션 가능성 등에서 상승압력을 받은 영향이다.

20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오후 3시30분 기준 전 거래일 대비 0.5원 내린 1451.4원에 마감했다. 장 초반 1.9원 내리면서 출발했지만 다시 1450원대로 복귀하며 증가세를 이어갔다.

원달러는 이틀 째 1450원선에 머물고 있다. 전날은 개장 직후부터 1450원 전후에서 등락을 반복한 후 1451.8원에 마감했다. 원달러 환율이 1450원 넘은 것은 1997년 외환위기(1962.5원),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1570.7원)에 이어 3번째다.

강달러 현상은 미국의 12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위원회)에 더욱 영향을 받았다. 연준은 17일~18일(현지시각)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기존보다 0.25%포인트 낮춘 4.25~4.5%로 결정했다. 다만 점도표에서는 경제성장률 호조세를 기반으로 내년 금리 인하 속도조절이 시사되면서 외환시장에서 냉소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에 금융당국은 외환 유입 규제 완화를 핵심으로 대책을 마련했다. 시중 은행의 선물환 포지션 한도를 국내은행은 전월 말 자기자본 대비 50%에서 75%, 외국계 은행 국내지점은 250%에서 375%로 각각 상향 조정하기로 했다. 급격한 자본 유입과 단기 차입을 억제하는 취지에서 2020년 3월부터 유지한 한도를 올리기로 결정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보가9, 카니발 하이리무진 실내 맞춤 제작 서비스 ‘인디비주얼’ 도입

2세포치료 위해 일본으로…첨생법 개정안이 해법될까

3 작년 산업생산 1.7% 증가…소매판매 2.2%↓·건설4.9%↓

4작년 주택건설업 신규업체 15년 만에 최저…금융위기 이후 처음

5코빗 리서치센터, ‘Market Maker, 시장 유동성의 열쇠’ 보고서 발간

6골드만삭스 "美 관세 일시적 전망…4일 부과 직전 타협 가능성"

7예금자보호한도 1억원 상향…2금융권으로 자금 움직일까

8중도상환수수료 절반으로 ‘뚝’…은행에 미칠 영향은?

9프로 ‘N잡러’로 살아남는 법

실시간 뉴스

1보가9, 카니발 하이리무진 실내 맞춤 제작 서비스 ‘인디비주얼’ 도입

2세포치료 위해 일본으로…첨생법 개정안이 해법될까

3 작년 산업생산 1.7% 증가…소매판매 2.2%↓·건설4.9%↓

4작년 주택건설업 신규업체 15년 만에 최저…금융위기 이후 처음

5코빗 리서치센터, ‘Market Maker, 시장 유동성의 열쇠’ 보고서 발간